earticle

논문검색

구술생애담 이야기판에 나타난 화자와 조사자의 관계 양상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narrative power of self-narration

김정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lied speaker’ and ‘the implied audience’ in the self-narration. In this paper, we have distinguish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lied speaker’ and ‘the implied audience’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 and the younger, the non-expert and the expert, the helper and the beneficiary. Subsequently, I saw that the power of narrative became clearer by clarifying who ended the meaning of the self-narration. Therefore, I have classified the closure of the self-narration into 'the closure of meaning' and 'the closure of the situation' and found each subject. First, in the type of narrative version in which the interviewee and the interviewer appear as the elder and the younger, the closure of the meaning and the closure of the situation are all performed by the interviewee. Therefore the narrative power is in the interviewee. In the narrative version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n-specialist and the expert is prominent, the closure of the situation is performed by interviewee and the closure of the meaning is performed by the interviewer. In this case, the narrative power seems to be in the interviewer who ends the meaning. I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lper and the beneficiary is the key, there are types in which the interviewee has the narrative power and the type in which the interviewer has the narrative power. In the former, the interviewee delays the meaning and ends the situation, and the latter ends the interviewer determines situation and the meaning. In short, in this article, I wanted to say that the attitude of the interviewer and the interviewee is important in self-narr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classifies the type of self-narration using the concept of ‘the implied speaker’ and ‘the implied audience’. I hope that these discussions will reveal the mechanism of communication of self-narration and re-recognize the role of interviewer.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내포 화자’ ‘내포 청자’의 개념을 설정하여 생애담에 나타나는 화자와 조사자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내포화자’는 화자의 모든 발화를 통해 추상화해낸, 오직 생애담 안에서만 존재하는 화자로서, 생애담의 내용을 통제하고, 특별한 방식으로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존재이며, ‘내포 청자’는 화자의 발화에 의해 유도되거나 기대되는 태도나 반응의 총체라고 보았다. 본론에서는 내포화자와 내포청자의 관계를 연장자와 연소자, 비전문가와 전문가, 시혜자와 수혜자의 관계로 구분했다. 이어서는 생애담 구술이 이러한 관계 안에서 이루어진다고 할 때, 서사의 권력은 이 가운데 누가 생애담의 의미를 종결하는지 밝힘으로써 명확해진다고 보고, 생애담의 종결을 ‘의미의 종결’과 ‘상황의 종결’로 구분하여 각각의 주체를 찾았다. 화자와 조사자가 연장자와 연소자 관계로 나타나는 이야기판의 유형에서는 의미의 종결과 상황의 종결이 모두 화자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서사의 권력은 화자에게 있다. 비전문가와 전문가의 관계가 두드러지는 이야기판에서 상황의 종결은 화자에 의해 의미의 종결은 조사자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 경우 서사의 권력은 의미를 종결하는 조사자에게 있다. 시혜자와 수혜자의 관계가 지배적인 이야기판은 도움을 주는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인식하고 있는 화자가 주도적으로 의미를 지연하고 상황을 종결하는 유형과, 조사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정확히 알고 있는 조사자가 상황과 의미를 종결하는 유형으로 구분했는데, 이 때 서사 권력은 전자의 경우 화자에 후자의 경우 조사자에 놓여 있다고 보았다. 요컨대 이 글에서는 생애담의 내용과 형식을 결정하는 데에 화자와 조사자의 발화 태도가 핵심적인 요인이라는 사실을 드러내고자 내포화자와 내포청자 간의 서사 권력을 중심으로 텍스트 내적인 관계들을 유형화하였다. 이러한 논의가 생애담이 전달·수용되는 의사소통의 메커니즘을 드러내고, 조사자의 역할을 재인식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 국문초록 ]
1. 서론
2. 서사 권력과 서사 종결
3. 내포 화자와 내포 청자의 관계를 통한 서사 권력의 양상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정경 Kim, Jeong-gyeong. 인천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