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 기획논문 ]

『推案及鞫案』 소재 讖謠 관련 자료 연구

원문정보

The Characteristics of Prophetic Songs(讖謠) Mentioned in Chuan and Gukan(推案及鞫案)

『추안급국안』 소재 참요 관련 자료 연구

김승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ough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rophetic songs(讖謠) mentioned in Chuan and Gukan(推案及鞫案), interrogation and trial records of felo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rophetic song is generally defined as a folk song with a sense of criticism and a prospect of future work. These examples are also shown in Chuan and Gukan, but there are more cases that deviate from the definition of “voluntary songs among the people”. Although it is difficult to treat them in the same way as ordinary prophetic songs, the act of arbitrarily distributing songs by individuals or groups with specific purposes can be an important discussion topic. In fact, the intention to use the prophetic song is based on a clear perception of its utility. By tracking what the reason for trying to utilize the prophetic songs was, it is possible to obtain a clue to retrospectively look back on the people’s view of prophetic songs. From this point of view, there are roughly three categories in the character of the prophetic songs in Chuan and Gukan. First, there is a case that aims to spread the prophetic song with blurred words to suggest the purpose or direction of rebellion. They also have intentions to distinguish friendly and enemy parties while enhancing the cohesiveness of their own. The second category is songs to inspire public opinion. These songs have the purpose of spreading the rhetoric and hypocrisy to stir the people’s mind and to lead public opinion to their advantage. Finally, there are songs that accuse unreasonable politics or raise lamentations about reality. The criticism of the people, which has been discussed as the most basic characteristic of the prophetic songs, can be clearly cited in this category. These songs tend to be spreading rapidly among the people much faster than other categories. Thus, in analyzing the prophetic song, it is necessary to examine not only the original character of the song as a natural manifestation of the people’s mind, but also the case of spreading the song to achieve some kind of intention. As can be seen in this paper, the latter, as well as the former, were phenomena that actually and frequently happen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conclusion, the multifaceted appearances associated with the prophetic song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both explaining the problems of power in literature and expanding the scope of literature research in the late Joseon period.

한국어

본고에서는 중죄인에 대한 조선후기의 심문 조서인 『推案及鞫案』에 수록된 참요 관련 자료의 분포를 정리하고, 이들을 세 가지 부류로 나누어 각각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참요는 세태에 대한 비판의식과 미래의 일에 대한 전망이 녹아 있는 민요라고 일반적으로 정의된다. 『추안급국안』에 소재한 참요 관련 자료에서도 이러한 사례들이 물론 나타나지만, ‘민중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불린 노래’라는 규정에서는 벗어나는 경우가 오히려 더 많다. 이들을 통상적 의미의 참요와 동궤에서 다루기는 어려우나, 특정 목적을 지닌 개인 또는 집단이 참요로 인식될 만한 노래들을 작위적으로 지어 유포하였다는 행위는 그것대로 중요한 논의거리가 될 수 있다. 참요를 활용하겠다는 의도란 참요의 효용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굳이 참요에 착목했던 이유가 무엇인지 추적함으로써 참요에 대한 당대인들의 시각을 역으로 되짚어 볼 수 있는 단서가 확보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추안급국안』에 소재한 참요 관련 자료의 성격을 대별해 보면 대략 세 가지 부류가 나타난다. 먼저 은어적 성격의 참요로서, 은어가 섞인 노래를 퍼뜨려 거사의 목적이나 방향을 암시하기 위한 목적을 띠는 부류이다. 거사를 일으키려는 당사자들 사이의 결속력을 높이는 한편 피아를 구분 짓기 위한 의도까지도 지니는 노래들이다. 두 번째 부류는 여론을 선동하기 위한 노래들이다. 이 경우에는 풍문 내지 낭설을 퍼뜨려 민심을 동요케 함으로써 시국을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이끌어 가려는 목적이 앞세워진다. 세 번째 부류는 세태의 불합리를 고발하거나 현실에 대한 울분을 토로하는 노래들이다. 참요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으로 논의되어 왔던 ‘민중의 비판 의식’이 간취될 수 있는 사례들이다. 이 부류는 특정한 목적을 지닌 노래가 아니기 때문에 노래 속 비판의식에 동조하는 백성들의 호응만 있다면 항간에 급속하게 전파된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처럼 참요를 논의하는 데 있어서는 민심의 자연스러운 발로로서 참요가 지니고 있는 본래적 요건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모종의 의도를 달성하기 위해 참요를 빙자하여 노래를 유포한 경우들에 대해서까지도 폭넓게 살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추안급국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전자는 물론 후자 역시도 조선후기에 참요를 둘러싸고 실제로 빈번하게 일어났던 현상들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참요를 지어낸 경위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당대인들이 참요에 대해 지니고 있었던 인식이 보다 명확하게 드러나 보이기도 하였다. 이렇듯 참요와 관련된 다단한 현상들은 문학 속 권력의 문제를 해명하는 데에도, 조선후기 문학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는 데에도 모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추안급국안』소재 참요 관련 자료의 탐색
3. 『추안급국안』소재 참요 관련 자료의 분류와 특징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승우 Kim, Seung-u. 전주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