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심사논문

거조암 『오백성중청문』을 통해 본 한국의 오백나한 의례

원문정보

Obaeksungjoongchungmun(五百聖衆請文) of Keojoam Temple and Ritual of Five Hundred Arhat in Korea

신광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rhat(Arahan, shortly Nahan in Korean) is the Buddha’s disciple who obtained the state of enlightenment, the Arhat hierarchy. In the Arhat cult, they are either a group of sixteen, eighteen or five hundred. Among the Arhats, Five Hundred Arhats are maximized compose of Arht’s power. The Arhat ritual makes one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and the hierarchy of Arhat. Obaeksungjoongchungmun(五百聖衆請文), Text on Inviting Five Hundred Holy Ones of Keojoam(居祖庵) Temple is representative Arhat, especially Five Hubdred Arhat ritual book of Korea, witten by the monk, Youngpa Sunggyu(影波 聖奎) in 1805. Keojoam is located in Yeongcheon,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belongs to EunHaesa Temple. The introduction of the book contains circumstances of the temple around 1800s of Joseon, reconstruction of the Hall, Youngsanjeon and the Five Hundred Arhat statues, need of ritual and the text, and acquisition process of the ritual book written by the Great Monk Muhak(無學大師) from Goryeo Dynasty at Seokwangsa Temple(釋王寺) in Anbyeon(安邊). The main sentences consist of request deities and the orders, Shakyamuni Triad, Arhats, Buddhist Guardians, the Massengers of the Underworlds. In case of Arhats, it is written in the order of Ten disciples, Sixteen Arhats, and Five Hundred Arhats. The Compose of deites in Obaeksungjoongchungmun(五百聖衆請文) corresponds to the ones of Five Hundred Arhat Hall to Joseon from Goryeo such as Five Hundred Arhats painting of Goryeo at Chionin Temple(知恩院), Sculptures at Youngsanjeon Hall of Keojoam Temple, Eungjinjeon Hall of Girimsa Temple(祇林寺) in Gyeongju, Obaekjeon Hall of Jeungsimsa Temple(證心寺) in Gwangju, and Nahajeon hall of Songkwangsa Temple(松廣寺) in Wanju. Another Text of similar content and composition written in 1728 is also in Girimsa Temple(祇林寺). Also, when we look at the tradition of Nahan faith and ritual in the Goryeo period, it also matches its character. Therefore, We can see that the book, Obaeksungjoongchungmun(五百聖衆請文) is the norm of the compose, place and the ritual of the Arhats, especially Five Hundred Ones. Furthermore, Through the book Obaeksungjoongchungmun(五百聖衆請文), we can see the Korean Arhat worship and ritual inherited from Goryeo to Joseon.

한국어

거조암(居祖庵)의 『오백성중청문(五百聖衆請文)』은 한국의 대표적인 나한 의식문으로, 영파 성규(影波 聖奎)가 1805년에 편찬한 것이다. 서문에는 1800년 무렵 거조암의 상황, 이후 불전과 오백나한상의 중수, 나한재의 개설과 의식문의 필요성, 그리고 고려시대 의식문의 입수와 계승 등에 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이 의식문은 고려말 석왕사에서 무학대사가 행하던 것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본문에는 소청대상과 절차가 쓰여 있는데, 석가모니와 좌우보살, 나한, 그리고 호법신중이 순서대로 올라있다. 나한은 십대제자, 십육나한, 오백나한의 순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모든 존명이 상세히 수록되어 있다. 『오백성중청문』의 구성은, 현존 작례나 문헌을 분석한 결과, 고려에서부터 조선후기에 이르기까지 오백나한 불사 때 나한상의 구성, 혹은 오백나한상이 봉안된 나한전 내의 존상 구성과 일치한다. 대표적으로 거조암과 더불어 고려시대 그려진 <오백나한도>(일본 지온인 소장), 조선후기에 조성된 기림사 응진전, 증심사 오백전, 완주 송광사 나한전의 존상 구성을 꼽을 수 있다. 또한 고려시대 나한신앙과 의례의 전통을 살펴보았을 때 그 성격과도 부합한다. 따라서 한국 오백나한상의 봉안과 의례에서 『오백성중청문』의 정통성과 규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오백성중청문』은 고려시대 오백나한 신앙 의례의 성격은 물론 조선에서의 계승 양상을 파악하는 데도 긴요하다.

목차

국문 초록
Ⅰ. 머리말
Ⅱ. 『오백성중청문』의 편찬과 내용
1. 편찬 경위
2. 구성과 내용
Ⅲ. 『오백성중청문』과 오백나한 의례
1. 나한상의 구성과 봉안
2. 의례 전통의 성립과 계승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광희 Shin, Kwang-Hee.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