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강 유역 국행 기우제 터에 대한 기억과 변화 - 한남동 용단마을, 보광동 우사단마을, 광장동 용당산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Memory and Change of the National Ritual for Rain at the Han River Basin - Focused on Yongdan Village of Hannam-dong, Usadan Village of Bogwang-dong, and Mt. Yongdang of Gwangjang-dong -

김태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place of the past is now remembered and how these memories and experiences are forming and influencing the place in the past, do. For this purpose, we will use the concept of place and placeness. First of all, Hannam-dong is the place where Yongdan was the important altar that was set up in the past. In this firing range, a sparkling fire was used from time to time. In addition, there was a Han River, so it also flourished commercially. Hannam-dong and its surrounding area share memories of Han River and sake barons, rituals for rain of national scale, and gut of shamans. These memories are again handed down as rituals of Bugundang, Dang-gut, and Yongwangje. On the other hand, the place called Yongdan was distorted from the beginning and caused the native people to experience a great embarrassment. Next, the case of Bogwang-dong, where the Usadan was located, is no longer remembered as the place of the national ritual for rain. It was also remembered as a displaced village built on the cemetery as a place of migration for the Dunjimmy people. Now, however, it forms a new identity called 'Usadan Road', and it is emerging as a famous spot in Seoul with many restaurants and attractions. Usadan is newly remembered as a ritual place, Usadan Road. Finally, it is a case of Gwangjang-dong where the place is going to disappear. In the past, there was a famous sacred party such as Yangjin-dang, but the reality is unknown, but the existence of the Yongdang is remembered by some native people. But the Yongdang was gone and a huge hotel was built instead. The empty spaces of the annihilated places had been replaced by Mireuk and Seonghwangdang which had been taking place in the past, but when the Seong hwangdang was lost, another place had to be annihilated. Currently, residents are eager for the restoration of the ruined place by building a new Seonghwangdang next to the Mireukdang. Thus, the location of an area is constantly affecting people living in the area. The memories of the past are distorted and created in new ways. They try to restore the lost place again. This is an essential property of the place and it is also why people have to seriously consider the place.

한국어

이 연구는 과거 국가적인 제사가 행해졌었던 세 지역을 사례로, 과거의 장소가 현재 어떻게 기억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억과 경험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현재의 장소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한남동의 경우는 과거에 중사로 설정되었던 중요한 제단인, 용단이 있었던 곳이다. 이 용단에서는 수시로 기우제가 행해졌고 특히 침호두나 무당을 동원한 기우제가 행해졌던 곳이기도 하다. 또한, 한강나루가 있어서 상업적으로도 번성했다. 한남동과 그 일대는 과거 한강과 장삿배, 국가적 규모의 의례와 기우제, 무당들의 굿 등의 기억이 공유되고 있다. 이러한 기억은 다시 부군당과 당굿, 용궁당, 그리고 용왕제 등의 의례로 전승되고 있다. 한편, 용단이라는 장소는 언제부터인가 왜곡되었고 원주민들로 하여금 커다란 당혹감을 경험하게 하였다. 다음으로, 우사단이 있었던 보광동의 경우는 이제 더 이상 기우제의 장소로서 기억되지 않는다. 둔지미 사람들의 이주처이자 공동묘지 위에 세워진 철거민촌으로 기억되기도 한다. 그러나 지금은 ‘우사단길’이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면서 맛집과 볼거리가 많은, 서울의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우사단은 의식적으로 만들어진 장소인 우사단길로 새롭게 기억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장소의 소멸을 겪고 있는 광장동의 사례이다. 과거 양진당이라는 유명한 제당이 있었지만 그 존재에 대한 기억도 사라졌고 다만 용당산과 용당의 존재는 토박이 몇몇에 의해 기억되고 있다. 그러나 용당마저 사라졌고 그 자리에 거대한 호텔이 대신 세워졌다. 소멸된 장소들의 공백은 예전부터 모셔오던 미륵과 성황당이 대신해 왔지만 성황당이 소실되면서 또 한 번 장소의 소멸을 경험해야 했다. 현재 주민들은 미륵당 옆에 성황당을 새롭게 지어 소멸된 장소가 복원되기를 열망하고 있다. 이처럼, 한 지역의 장소는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과거에 대한 기억은 왜곡되기도 하고 새로운 모습으로 창조되기도 한다. 소멸된 장소를 다시 복원하려고도 한다. 이는 장소가 지닌 본질적인 속성이기도 하며 인간들이 장소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한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조선시대 한강 유역 국행 기우제와 장소
3. 용단의 기억, 그리고 장소의 왜곡: 한남동의 사례
4. 지명으로만 남은 우사단, 만들어지는 장소: 보광동의 사례
5. 용당과 성황당, 장소의 소멸 : 광장동의 사례
6.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태우 Kim, Tae-woo.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