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식의 관점에서 바라본 「學詩準的」의 學詩 기준과 學詩의 방법

원문정보

The Learning Poets Standard and Method of "Haksi-Junjuk" as seen from the viewpoint of knowledge

지식의 관점에서 바라본 「학시준적」의 학시 기준과 학시의 방법

유진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was designed to see Taekdang Yi Sik's "Haksi-Junjuk" as one of the four major Chinese classics in the middle of Chosun from the view of knowledge. Under the premise that knowledge is acquired through learning, Learning poetry can have meaning to acquire knowledge. I would like to see “Haksi-Junjuk” from the viewpoint of knowledge under these assumptions. Yi Sik did not keep the poem at the level of information by himself, but developed his knowledge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it and integrated his own knowledge through narrating. Yi Sik presents standards of learning poets from "Haksi-Junjuk"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method by presenting the layer classification of practice and the presentation of specific numerical value. The degree of the learning poetry was divided by the hierarchy of the method of studying such as reading carefully, taking a standards, and seeing. Also, I used the numbers that can be confirmed most fairly. Through the use of such a specific metho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tandard of scholarly is being presented more efficiently. "Haksi-Junjuk" is a sentence created with a clear purpose consciousness to organize the knowledge acquired by himself and to teach for later learning. From this point it is possible to find a discriminatory landscape from the sentences in which other writers wrote personal poetry. Among them, you can find the meaning that presented the Learning poets standards.

한국어

본고는 조선 중기의 한문사대가의 한명인 澤堂 李植의 「學詩準的」을 지식의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기획한 것이다. 지식이 배움, 학습을 통해 획득되는 것이라는 전제하에 學詩는 지식의 습득이라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전제하에 「학시준적」을 지식의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택당은 자신이 보는 시를 정보의 수준에 머물러 두지 않고 그것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지식으로 발전시키고 서사의 과정을 통해 자신의 지식을 종합하였다. 택당은 「학시준적」에서 학시의 기준을 제시하는데 학습 방법의 층위를 두어 제안하기도 하고 작품의 편수를 제시하여 단순하면서도 확실하게 제시하기도 한다. 익히 읽을 것, 준적으로 삼을 것, 참고할 것 등의 학습 방법상의 층위를 두어 學詩의 정도를 구분하였다. 아울러 가장 단순하고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숫자를 이용하였다. 이런 구체적인 방법의 사용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학시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학시준적」은 자신이 습득한 지식을 정리하여 후학들을 위해 전달하고자 하는 분명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창작한 글이다. 이런 점에서 여타문인들이 개인의 시론을 담아낸 글과는 차별적인 지점을 발견할 수 있다. 그 속에서 택당이 학시 기준을 제시한 것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지식의 관점에서 바라본 「學詩準的」
Ⅲ. 學詩기준과 學詩의 방법
Ⅳ. 學詩기준과 學詩방법의 의미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유진희 Yoo, Jin-hee.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 연구보조원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