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黃泌秀 校正本 『增刪濂洛風雅』 考察

원문정보

A Study of Pil-su Hwang’s Jeungsan Yeomrakpunga

황필수 교정본 『증산렴락풍아』 고찰

김순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Jeungsan Yeomrakpunga (增刪濂洛風雅), edited and proofread by late Joseon’s book compiler Sinchon (愼村) Hwang Pil-Su (黃泌秀, 1842-1914) with two other versions of Jeungsan Yeomrakpunga by Park Sea-Chae (朴世采) and Jeon Yi-Chae (田以采). By analyzing these books, it revealed importance of Hwang Pil-Su as a book compiler in the publication history. From late Joseon period to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Hwang Pil-Su was an active book compiler who compiled multiple books himself and have part in publishing other books. Among those books he took a part in for publication, Jeungsan Yeomrakpunga, the book written to teach other scholars the poetry, shows significant meaning of Hwang Pil-Su as a book compiler in the publication history. Yeomrakpunga (濂洛風雅) is a book that put together important poems written by scholars from Song dynasty. It was edited by Kim Li-Sang (金履祥) and reorganized by Dang Yang-Seo (唐良 瑞) before publication in the end of Song dynasty and early of Yuan dynasty. When Yeomrakpunga came down to early Joseon period, it became important book to read for scholars. During mid Joseon period, Park Sea-Chae edited Yeomrakpunga with his own perspective and published Jeungsan Yeomrakpunga. After Park Sea-Chae’s Jeungsan Yeomrakpunga, it was republished several times in different edition. Jeon Yi-Chae’s edition of Jeungsan Yeomrakpunga shows difference with Park Sea-Chae’s, and it is important since Whang Pil-Su referred to Jeon Yi-Chae’s edition when he was editing and proofreading his. There is high possibility that Ji Song-Uk (池松旭) asked Whang Pil-Su to edit Jeungsan Yeomrakpunga to publish it. Looking at it with perspective of publication history, relationship between Ji Song-Uk and Whang Pil-Su is important. Whang Pil-Su’s edition of Jeungsan Yeomrakpunga shows one section of late Joseon’s publication culture and shows Whang Pil-Su’s compability as a book compiler.

한국어

본고는 조선 말기의 도서편찬자였던 愼村 黃泌秀(1842-1914)가 교정ㆍ편찬한 『增刪濂洛風雅』 校正本의 실상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한 것으로, 이 작업은 황필수라는 중요 도서편찬자의 출판문화사적 의의를 규명하는 일련의 과정 중의 하나이다. 황필수는 조선 말기에서 일제강점기 초기에 활약한 도서편찬자로서 직접 편찬한 도서와 간행에 관계한 도서가 다수 있다. 그 중에서 그가 학동들에게 詩를 가르치기 위해 교정․편찬한 『增刪濂洛風雅』 교정본을 통해 주선후기 중요 도서편찬자의 출판문화사적 의의를 규명하였다. 『濂洛風雅』는 송대의 성리학자들이 지은 시문 중에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을 송말원초의 金履祥이 편집하고 唐良瑞가 재정리한 책으로, 조선조에 전래된 이래 유학자들의 중요 독서 대상이 되었다. 조선 중기의 朴世采가 『염락풍아』의 내용을 독자적인 관점에서 첨삭한 『증산염락풍아』를 편간한 후 여러 차례에 걸쳐 출판 을 거듭하였다. 그중 중요한 판본이 田以采가 간행한 것인데, 박세채의 증산본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황필수의 교정본은 전이채본을 저본으로 삼아 교정하였다. 『증산염락풍아』는 지송욱이 출판 목적으로 황필수에게 『增刪濂洛風雅』의 교정을 부탁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이 시기의 출판문화사적 관점에서 볼 때, 지송욱과 황필수의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 황필수가 교정한 『濂洛風雅』는 조선 말기 출판문화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황필수라는 특출한 도서편찬자의 의식과 역량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초록>

1. 서언
2. 교정본의 간행 배경
2.1 『濂洛風雅』
2.2 『增刪濂洛風雅』 朴世采本
2.3 『增刪濂洛風雅』 田以采本
2.4 『增刪濂洛風雅』 黃必秀本의 간행 배경
3. 교정의 방법 및 내용
3.1 卷數의 차이
3.2 편집의 차이
3.3 「易五贊」의 增刪
3.4 名字의 기록방식
3.5 校正의 의의
4. 결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순희 Kim, Soon-Hee. 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