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奎章閣 소장 『經書正音』에 대하여

원문정보

On the Purpose of Gyeongseojeongeum in the Gyujanggak Collection

규장각 소장 『경서정음』에 대하여

정승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is a study on the purpose of the publication of Gyeongseojeongeum in the Gyujanggak collection as well as its biographical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apter 2 surveys the significance of the test texts and the Confucian classics which were used in the Sino-Korean studies as a category for the translator program. The purpose of Gyeongseojeongeum was to make sure that ① examinees effectively pronounce words when reading the Confucian classics for the contests and that ② the relevant officials correctly pronounce the sounds of the words in the Confucian classics and thereby ensure their effective communication during diplomatic exchanges with China. Since its early days, the Joseon Dynasty was continuously interested in making correct pronunciations about the Confucian classics, which led the publication of Gyeongseojeongeum during King Yeongjo’s reign and then to a reprint during King Jeongjo’s reign. It lets it be known for the first time that Juyeokjeongeum in particular had its first edition made by translator Kim Ik-seo in 1800. Second, Chapter 3 summarizes the current status of Gyeongseojeongeum in the Gyujanggak collection. The three copies in the Gyujanggak collection are bound under the name of Gyeongseojeongeum, and the movable type printing and the woodblock printing editions are also available in the collection. Third, Chapter 4 surveys the Korean transliteration that describes the sounds of the Chinese words but fails to reflect the actual pronunciation of the Chinese words, which is it original purpose, as not only the left sounds but the right sounds almost faithfully follow the Korean transliteration system which was established in Hongmujeonghunyeokhun (1455).

한국어

이 논문은 규장각 소장 「經書正音」의 편찬 목적과 서지 정보, 語音의 특징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2장 ‘「經書正音」의 편찬 목적과 편찬 시기’에서는 譯科 漢學에서 사용된 科試書와 經書의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經書正音』의 편찬 목적은 ① 經筵 시에 經書의 발음을 정확하게 말하고, ② 중국과 통교할 때 經書의 音을 바르게 하여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조선은 초기로부터 『經書󰡕의 발음을 정확하게 하는 데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있었는데, 마침내 英祖대에 이르러 『經書正音』을 처음 편찬하였고, 正祖대에 중간하였다. 특히 『周易正音』은 1800년에 역관 金益瑞가 초판본을 만들었음을 밝혔다. 둘째, 제3장 ‘奎章閣 소장 『經書正音』의 書誌’에서는 규장각에 소장된 『경서정음』의 현황과 서지사항을 정 리하였다. 규장각 소장본은 ‘경서정음’이라는 이름으로 묶인 3질이 있고, 활자본과 목판본을 각각 따로 소장하고 있다. 셋째, 제4장 ‘ 『經書正音』의 語音’에서는 한어음을 표기하는 한글 전사를 살펴보았는데, 좌측음은 물론 우측 음까지도 『洪武正韻譯訓』(1455)에서 수립된 한글 전사 체계의 골격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서 본래의 목적이었던 한자음의 현실음 반영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목차

<초록>

1. 緖論
2. 『經書正音』의 편찬 목적과 편찬 시기
2.1 『經書正音』의 편찬 목적
2.2 『경서정음』의 편찬 시기
3. 奎章閣 소장 『經書正音』의 書誌
3.1 규장각 소장 『經書正音』의 書誌
3.2 『경서정음』의 活字- 經書正音字
4. 『經書正音』의 語音
5. 結語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승혜 Chung, Seunghye. 수원여자대학교 비서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