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충청도 서산지역 사찰의 책판 제작 활동에 관한 연구 - 開心寺ㆍ普願寺ㆍ伽倻寺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Wood-block in Buddhist Temples from Seosan Area, Chungcheong-do - Focusing on Examples from Gaesimsa Temple(開心寺), Bowonsa Temple(普願寺) and Gayasa Temple(伽倻寺) -

충청도 서산지역 사찰의 책판 제작 활동에 관한 연구 - 개심사ㆍ보원사ㆍ가야사를 중심으로 -

任潤修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aesimsa Temple, located at Seosan in Chungcheong-do Province, currently holds a total of 18 types and 421 blocks of wood-blocks, which include 2 type of wood-block engraved in Gaesimsa Temple, 14 kinds from Bowonsa Temple, 1 type from Gayasa Temple and 1 type from an unknown publisher. Most of these wood-blocks were originally engraved in Bowonsa Temple. The wood-blocks in Gaesimsa Temple are rectangular in shape and are unusually long horizontally. A significant number of them are either warped or misaligned. This is mostly due to the accelerated production process. The variance in the type of woods used for the wood-blocks reveals that some types of trees not usually considered for wood-block printing were also utilized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In addition, the orders of block surfaces were often mixed up, probably to ensure faster and more efficient publication. These analyses also enable us to read the historical circumstance, and also let us understand the consciousness of the engravers who worked on these wood-blocks. Examining the 830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as seen in the wood-blocks itself and the published materials, this study analyzed the personnel’s who participated in the process, their social status, and also their role conducted in the production of the wood-blocks. In addition,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re were a number of people who overlapped from different Buddhist temples, indicating that these printing activities from each of the three temples were not isolated, but actually integrated and cooperative among each other.

한국어

충남 서산 개심사에는 총 18종 421판의 책판이 소장되어 있다. 개심사에서 판각된 책판 2종, 보원사 14종(추 정 2종, 강당사(異稱) 2종 포함), 가야사 1종, 간행처 미상 1종으로 대부분이 보원사에서 판각된 책판이다. 개심사의 책판들은 가로로 매우 긴 장방형이며, 휘어지거나 어긋난 판형을 지니고 있다. 이를 빠른 인출을 위하여 공정의 과정을 줄인 것이며, 판형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은 비록 책판에는 적합하지 않은 휘어진 나무 라도 판각에 사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판면의 내용 순서가 뒤섞여 나타나는 것은 책판을 빠르게 간행 하고 판을 보다 경제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판면의 특징은 판각 당시의 상황과 각수의 의식적 흐름 을 알 수 있는 자료로서 의의를 지닌다. 책판과 간인본을 통해 830명의 간행 참여자들에 대한 정보를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서로 다른 사찰에서 간행 된 책판에서 같은 간행 참여자의 이름이 중복되어 나타나는 경우를 찾아 세 사찰의 간행이 각 사찰의 개별적인 활동이 아니라 유기적이고 협력적인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활동이라는 것을 밝혀내었다.

목차

<초록>

1. 머리말
2. 지리적 특징
3. 개심사 소장 책판의 형태 분석
3.1 판의 형태
3.2 판면의 순서
4. 간행 참여자의 기록과 간행 활동
4.1 간행 참여자에 대한 기록
4.2 주요 인물을 통해 본 간행 활동
5.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저자정보

  • 任潤修 임윤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고문헌관리학과 석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