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經國大典』의 편찬ㆍ반포와 초주갑인자본 관련 초기 판본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f the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Gyeongguk Daejeon and of the First Cast of Gapinja Type and Other Early Editioms

『경국대전』의 편찬ㆍ반포와 초주갑인자본 관련 초기 판본에 관한 연구

강순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the study of the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Gyeongguk Daejeon and of the first cast of gapinja type and other early editioms. The compilation of Gyeongguk Daejeon began with King Sejo attempting to create a code of law for future generations by revising, modifying numbers and interpreting the overly many departments and sections of law in the previous kings’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Wonyukjeon, Sokyukjeon, Yukjeondeungrok and regal doctrines. Gichuk Daejeon, distributed on November 16 in the year Yejong became king (1469), was the first publication of Gyeongguk Daejeon. The edited editions of Gyeongguk Daejeon were carried out as Sinmyo Daejeon in the 1st year of Seongjong (1470) and as Gabo Daejeon in the 4th year of Seongjong’s reign (1473), while the complete edition Eulsa Daejeon was carried out in the 16th year of Seongjong’s reign (1485). Eulsa Daejeon follows the format of Chinese code of law The Rites of Zhou in being comprised of six codes. There is a total of 212 articles (目): 29 “Ijeon” articles, 29 “Hojeon” articles, 61 “Yejeon” articles, 51 “Byeongjeon” articles, 28 “Hyeongjeon” articles, and 14 “Gongjeon” articles. Compilation of the Eulsa Daejeon of the 16th year of Seongjong’s reign (1485) was led by the Gyojeongcheong, but no literary record remains of where it was published. However, the First Cast Type being in a printed book makes it probable that it was published in the Gyoseogwan or a typefoundry. The original edition of Eulsa Daejeon has the same form details as Sinmyo Daejeon which was printed and distributed in November in the 1st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1470) and followed in the first month of Seongjong’s second year (1471): the same sajudanbyeon ban-gwak of 25.5 × 17.2 ㎝; daeja 10-stanza 17-character; jussanghaeng; sangha-naehyang-heukeomi; and the First Cast Type. Volume 1 to Volume 3 of the First Supplement Cast of Gapinja Type of the annual Eulsa Daejeon from Jungjong’s to Myeongjong’s reign (1506-1567) is housed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while Volume 5 to Volume 6 of the edition are in the Sung Am Archives of Classical Literature. The worn out large types in the First Supplement Cast of Gapinja Type have thinning strokes, sometimes bending, and some of the thinning strokes show unclear ink color. The newly formed large types of the First Supplement Cast of Gapinja Type have horizontal strokes and vertical strokes elongated and thus made bland, lessening the appearance of the pilsa type. In certain characters the horizontal strokes have been elongated, breaking the clear flow of the letter type. The Reprint of the First Cast of Gapinja Type based itself on the published edition in King Seongjong’s 16th year of reign, and was published from the 16th to the 25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1486-1494). Volume 1 of Eulsa Daejeon is housed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 large types in the Reprint of the First Cast of Gapinja Type resemble those of the First Cast of Gapinja Type in shape, but being as they are carved in wood the appearance of the pilsa type is blunted. In particular, the horizontal strokes, right-falling strokes and ending hook strokes appear as if they were carved with a kn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as future basic (research) material in bibliography, history, and Korean studies.

한국어

이 글은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간행과 초주갑인자본 관련 초기 판본에 관한 연구이다. 『경국대전󰡕의 편찬 배경은 세조가 선대왕들이 편간한 『원육전』, 『속육전』과 『육전등록』 및 왕이 내린 교지들이 있었는데, 법의 과(科)와 조(條)가 너무 많아 이를 조정하여 증감하고 회통하여 자손만대의 성법을 만들려고 한 데서 시작되었다. 『기축대전』은 예종 1년(1469) 11월 16일에 반포된 『경국대전』의 초간본이다. 성종 1년(1470) 『경국대전』의 수정 판인 『신묘대전』과 성종 4년(1473) 『갑오대전』이 시행되었으며, 성종 16년(1485)에 『경국대전』의 완성본 『을사대전』이 시행되었다. 『을사대전』의 구성은 중국의 법전인 『주례』의 형식에 따라 육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전」 29목, 「호전」 29목, 「예전」 61목, 「병전」 51목, 「형전」 28목, 「공전」 14목의 총 212목이다. 성종 16년(1485) 『을사대 전』은 교정청이 주도하여 편찬하였고, 간행은 어디서 이루어졌는지 문헌상의 근거가 남아 있지 않다. 다만, 초주 갑인자 활자본인 것으로 미루어 교서관 또는 주자소에서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을사대전』의 저본은 현재 성종 1년(1470) 11월에 인반하고 성종 2년(1471)에 정월부터 준행된 『신묘대전』의 판본 형식인 ‘사주단변, 반곽 25.5 × 17.2 ㎝, 대자 10행17자, 주쌍행, 상하내향흑어미’의 형태사항과 같고, 초주갑인자 활자도 같다. 중종∼명종 연간(1506-1567) 『을사대전』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은 국립중앙도서관에 권1-권3이, 성암고서박물관에 권5-권6 이 남아 있다.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의 마멸된 큰 자 활자들은 획이 가늘어지고 활자 획이 휘어지는 경우도 나타 나고 너무 가늘어진 부분은 먹색이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의 새로 주성된 큰 자 활자들은 가로획과 세로획이 길어지면서 밋밋해져서 글자 획의 필서체 느낌이 줄었다. 어떤 글자는 가로획 이 길어져서 명정한 글자체의 흐름이 깨졌다. 초주갑인자번각본은 성종 16년(1485)에 간행본을 저본으로 하여 성종 16년 이후 성종 25년(1486-1494)에 간행되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본 『을사대전』권1(고6025-59, 귀780) 이 남아 있다. 초주갑인자번각본의 큰 자 활자들은 초주갑인자의 모양을 그대로 닮았지만 목판이어서 필사체의 느낌은 둔탁해졌다. 특히 가로획필법, 파임 필법, 종획의 갈고리 획에서 뻣뻣하고 칼로 도각한 느낌이 나타난다. 이 연구는 향후 서지학, 역사학, 한국학 분야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목차

<초록>

1. 서론
2. 『경국대전』의 편찬
2.1 『경국대전』의 편찬 배경
2.2 『기축대전』의 편찬
2.3 『신묘대전』 및 『갑오대전』의 편찬
2.4 『을사대전』의 편찬
3. 『을사대전』의 구성과 내용
4. 『을사대전』의 판본
4.1 초주갑인자본
4.2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
4.3 초주갑인자번각본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순애 Kang, Soon-Ae.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인문학부 문헌정보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