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益安大君 發願 紺紙銀字 『妙法蓮華經』 卷6의 書誌的 分析

원문정보

Bibliographical Analysis of the Wish’s ‘Ig-andaegun’ at Written in Silver on Dark-blue Paper Lotus Sutra Vol. 6

익안대군 발원 감지은자 『묘법련화경』 권6의 서지적 분석

남권희, 석혜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newly discovered [Written in Silver on Dark-Blue Paper, Painted in Gold ‘紺紙銀字’] Lotus Sutra (妙法蓮華經) 卷6 and with the Currently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Lotus Sutra 卷5 (德2466), which is now stor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From the source (發願文) of the written script, we have been able to confirm how close ‘Ig-an dae-gun (益安大君)’ was with ‘Tae-jong (太宗)’, at the same time, The fact that the royal family created the scriptures for peace and well-being, It can be seen that the royal court of Joseon also placed great importance on supporting the king. Furthermore, the timing of the production can be viewed as being made between 1400 and 1404, based on newly discovered data. Although the cover art (表紙畵) is influenced by the style of Goryeo Dynasty later period,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Jo-seon Dynasty can be seen where lotus leaves and stems are drawn. Moreover, the scent coming from the flower’s heart changes in a straight line, and the rigid expression begins to stand out. In the of the paintings (變相畵), there is a characteristic of the light backs of Cho-sun beginning period (that is, they are surrounded by fire patterns, but there is no decoration in the head light) and the sign that displays the scattered flowers on the stairs of ‘Su-mi-dan (須彌壇)’, What is expressed is also the form that appears at that time. In the style of font (書體), Basically it was affected by the ‘Gu-yang-sun font (歐陽詢體)’ and added the font of ‘Jo-maeng-bu Font (趙孟頫體)’. However, a variety of calligraphy styles are emerging.

한국어

본 연구는 새로 발견된 紺紙銀泥 『妙法蓮華經』 卷6과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紺紙銀泥 『妙法蓮華 經』 卷5(德2466)를 비교 고찰한 것이다. 해당 寫經의 發願文을 통해 우리는 益安大君이 太宗과 얼마나 가까운 사이였는지를 여실히 확인함과 동시 에, 上王을 비롯한 왕실의 평화와 안녕을 위해 여러 차례 寫經을 제작한 점 등은 조선 왕실내부에서도 功德을 위한 寫成을 매우 중요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사경의 제작 시기는 추가로 발견된 史料들을 바탕으로 새롭게 상정해 볼 때 1400∼1404년에 사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表紙畵는 高麗末 양식의 영향을 받고 있으나, 연잎의 모양이나 굵은 唐草줄기 등의 표현이 圖式化되어가는 부분에서 朝鮮時代 특징을 엿볼 수 있다. 또한 花心에서 뿜어져 나오는 향기의 방향이 일직선으로 변화하는 등 硬直化된 표현이 두드러지기 시작한다. 變相畵에 있어서는 조선초 如來의 光背 紋樣의 특징(즉, 火焰紋에 휩싸여 있으나 頭光에는 장식이 없다는 점) 및 須彌壇의 계단에 散花를 표시하는 紋樣이 보인다는 점, 여래의 寶蓋가 작게 표현된 것 또한 해당시기에 나타나는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書體에 있어서는 歐陽詢體를 기본으로 하되, 麗末鮮初 유행한 趙孟頫体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다양한 書者 만의 스타일이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이 사경들은 현재 발원 연대가 없어, 양식만으로 고려말기의 사경으로 주목받고 있는 다른 사경 들의 양식분석과 시기추정에 기초가 될 만한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목차

<초록>

1. 머리말
2. 형태와 구성체재
2.1 형태사항
2.2 구성 및 내용
2.3 本文의 對校
3. 『妙法蓮華經』 卷6의 양식 분석
3.1 發願文
3.2 양식적 특징
4.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저자정보

  • 남권희 Nam, Kwon Hee.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 석혜영 Suk, Hae-Yung.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