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on the works and lost sentences by Seong Un, Dae Gok.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In a dark age marred by frequent massacres of scholars (士禍), Dae Gok spent most of his life as a hermit living in Jonggok, Boeun, and the Songnisan Mountain. Rather than pursuing a successful career as a government official, he chose a life of a hermit scholar living in the wild. (2) Dae Gok’s Works (大谷先生集) was edited by his son, Kim Gagi (金可幾), in the 29th year of King Seonjo’s reign (1596), and the wood block print version was published in the 36th year of King Seonjo’s reign (1603) by his grandson, Kim Deokmin, with assistance from Ryu Geun. It consists of three volumes: Introduction, Body (which consists of three parts), and Appendix. The Body contains 212 poems, 10 free essays (雜著), 4 headstone epitaphs (碣銘), and 3 orations (祭文). (3) Many of Dae Gok’s poems were lost during the massacres that took place throughout his life. They were also scatter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壬辰倭亂) in King Seonjo’s reign (1592). As a result, at the time of editing Dae Gok’s Works, not a small number of poems had been lost or had to be rewritten. (4) The writings of Dae Gok and others that did not make it into Dae Gok’s Works include three essays (著述), five poems (詩篇), one letter (書簡), five funeral orations, and four Mallyus (挽詞). These writings are considered valuable assets for those who study Dae Gok. (5) Dae Gok’s scholarly legacy and his life had a ponderous impact on scholars in his own time as well as many that followed. Im Je (林悌), Heo Mok (許穆), Yun Hyu (尹鑴), and others were heavily influenced by Dae Gok’s academic works. In particular, Tak Gye (濯溪) Kim Sangjin (金相進), a member of the Sarim (士林) scholars who lived and died as a hermit in his hometown of Boeun, faithfully followed in the footsteps of this astounding scholar.
한국어
본 연구는 大谷 成運의 學問과 思想을 비롯하여 그의 著述과 逸文 및 後響에 관하여 고찰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大谷은 士禍가 빈번한 조선 중기의 암흑시대에 일생의 대부분을 報恩의 鍾谷과 속리산 자락에 은거하며 湖西處士로서의 입지를 견지한 인물로 正道가 실현되지 않는 현실에서 出仕하여 顯達을 구하기보다는 山林의 處士로서 自娛․自足한 인물이다. (2) 『大谷先生集』은 선조 29년(1596) 무렵에 後嗣子인 一丘堂 金可幾에 의하여 편집되어 선조 36년(1603)에 그의 後嗣孫인 澗西齋 金德民이 西坰 柳根의 도움을 얻어 목판으로 刊行하였다. 그 구성은 권두의 <서문>과 본집 상ㆍ중ㆍ하 및 부록의 <賜祭文> 등 3권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本集에는 詩 203題 212首, 雜著 10篇, 碣銘 4篇, 祭文 3篇 등이 수록되어 있다. (3) 『大谷先生集』에 수록된 大谷의 詩文들은 그의 詩文 중 일부에 지나지 않으며, 大谷의 평소의 詩文들은 그의 생전에 被禍의 공포로부터 이미 많은 편수가 遺漏되고 壬辰倭亂을 겪으면서 또다시 散逸되어 一丘堂이 『大谷先生集』을 편집할 당시에는 이미 遺漏․散逸되거나 改作된 시문들이 적지 않았다. (4) 大谷의 自作 또는 他人 著作으로서 『大谷先生集』에 수록되지 않은 逸書․逸文 또는 改作으로는 著述 類 3편, 詩篇類 5편, 書簡類 1편, 祭文類 5편, 挽類 4편 등이 있으며, 이들은 大谷硏究의 귀중한 자료들이다. (5) 大谷의 學風과 處世는 當代와 後代의 많은 인사에게 영향을 미쳐 당대에는 倻溪 宋希奎, 南冥 曺植, 河西 金麟厚 등 27인의 인사들이, 후대에는 尤庵 宋時烈, 魯西 尹宣擧, 白湖 尹鑴 등 19인의 인사들이 그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파악된다. 그중에서도 白湖 林悌와 眉叟 許穆 및 白湖 尹鑴 등은 학문적으로 그의 영향을 크게 받은 인물들이며, 특히 濯溪 金相進은 大谷이 隱居한 報恩에서 출생하여 평생을 이곳 鄕村에서 隱居하다 卒去한 조선 말기의 士林 知識人 중의 한 사람으로 大谷의 眞面目을 그대로 계승한 인물로 파악된다. (6) 大谷의 學問과 學風은 當代의 학자들에게는 물론 後代의 濯溪를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면면히 계승되 고 있다.
목차
1. 緖言
2. 大谷의 學問과 思想
3. 大谷의 著述과 逸文
3.1 『大谷先生集』의 編纂과 刊行
3.2 大谷의 逸文
4. 大谷 著述의 後響
5. 結論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