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太賢의 「菩薩戒本宗要」 유통본 서지조사 및 대조ㆍ연구

원문정보

A Comparative and Bibliographical Research for Taehyun’s Bosalgyebonjongyo

태현의 「보살계본종요」 유통본 서지조사 및 대조ㆍ연구

최종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ne of representative monks of Silla period, as a Preceptor, Seon master, Dharma teacher, Taehyun wrote the annotated commentaries for about fifty-five collections and one-hundred twenty two books of Hwa-eom (華嚴), Junggwan (中觀, Madhyamaka), Yusig (唯識, Yogācāra), Gyeyul (戒律, Vinaya), Jeongto (淨土) and so forth. Unfortunately, there are now only five collections and fourteen books left among these. Taehyun annotated in detail and systemized the Buddhist thoughts divided into times, regions, and schools based on the Tripiṭaka (Vinaya․Sūtra․Abhidharma Piṭaka) made in India. In the Bosalgyebonjongyo(菩薩戒本宗要), he annotated the gist of memorizing and transgressing the precepts that were mentioned in the Sutra of Brahma’s Net (II) with three gates of Singyengeumun (申經意門), Neungsoseungmun(能所成門), and Suhaengchabyeolmun(修行差別門). Taehyunn explained the three gates summarizing many Prātimokṣa(戒本) while quoting sutras and treatises related to the Mahāyāna thoughts of Hwa-eom, Junggwan, Yusig, Seon, and Jeongto etc. The Bosalgyebonjongyo is known like a compass and a text book for practitioners. Therefore there are about thirty-one collections and forty-nine books as the annotated commentaries of the Bosalgyebonjongyo. In this paper, I came across the buddhist bibliographical researches for the Bosalgyebonjongyo of Handwritten manuscript, the woodblocks and woodblock prints of Korea and Japan which were researched and studied in the Database construction business and Goryeogyojang Collection of 2012 for the basic research of the bibliographical distribution process and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prātimokṣa in East Asia. And also I compared philologically these sources because they have been differently published to the original intention of Taehyun in the distribution process of handwriting, carving, printing the Bosalgyebonjongyo. The Handwritten manuscript (two styles), the woodblocks (two styles), the woodblock prints (two styles) which I introduced in this paper, total six styles (I illustrated eight styles not researched in the annotation of 31) are the block books made from 13C to 17C. For the philological comparative study, I considered the sources of Jinboksa daesumungo(眞福寺 大須文庫), Shinyeansan Daehak(身延山大學) Library, Daejeongjang(大正藏), Hankuk-Bulgyo-Jeonseo (韓國佛敎全書), and the Korean Eminent Monk’s Collections (韓國高僧集, Silla period, 2).

한국어

신라시대를 대표하는 태현(太賢, 8세기)은 율사ㆍ선사ㆍ법사로서 화엄ㆍ중관ㆍ유식ㆍ계율ㆍ정토 등에 대한 55여 부ㆍ122여 권의 주석서들을 찬술하였다. 이들 주석서들 중에서 아쉽게도 현재는 5부․14권만 남아있다. 태현은 인도에서 찬술된 경ㆍ율ㆍ론 삼장(三藏)들에 대해서 불교의 시대별ㆍ지역별ㆍ학파별의 사상들을 자재 롭게 체계적이며, 구체적으로 주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연구되는 「보살계본종요(菩薩戒本宗要)」(1권)는 태현이 「범망경(梵網經)」(2권)에서 언급되고 있는 수지(受持)와 위범(違犯)의 요체를 신경의문(申經意門)ㆍ능소성문(能所成門)ㆍ수행차별문(修行差別門) 의 세 가지 문[三門]으로 주석하고 있다. 태현은 삼문에서 대승사상인 화엄, 정토, 반야ㆍ중관, 여래장, 유식, 선사상 등의 사상과 관련 경ㆍ론들을 인용ㆍ주석하여 자재롭게 계본들을 종요(宗要)하고 있다. 「보살계본종요」 는 수지자들에게 교과서와 같으며, 지남(指南)이 되는 찬술서로 알려져 있다. 이에 동북아시아에서는 「보살계본 종요」에 대한 주석서들로서 31부ㆍ49권이 찬술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동북아시아에서 전개된 계본(戒本, prātimokṣa)에 대한 사상적 전개와 서지학적 유통과정에 대한 토대연구를 위하여 2012년부터 「고려교장 결집 및 DB 구축 사업」에서 조사ㆍ연구된 한국ㆍ일본의 필사 본ㆍ목판본ㆍ목활자본들의 「보살계본종요」에 대한 불교서지학적 조사를 소개하고, 그리고 「보살계본종요」가 각국에서 필사, 판각, 목활자, 금속활자화되어 전래ㆍ유통되는 과정에서 태현의 원의(原義)와는 다르게 교감이 진행되고 있어 문헌학적인 대조ㆍ연구를 하였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필사본(2종)ㆍ목판본(2종)ㆍ목활자본(2종)은 총 6종(미조사된 8종은 각주 31에 소개) 으로서 13세기부터 17세기까지의 영인된 판본들이다. 그리고 문헌학적인 대조ㆍ연구는 眞福寺의 大須文庫본, 身延山大學校 도서관본, 韓國高僧集(新羅時代 2)본, 그리고 韓國佛敎全書본과 大正藏본들을 사용하여 고찰 하였다.

목차

<초록>

1. 들어가는 말
2. 「보살계본종요」에 대한 서지조사 내용
2.1 高野山大學 圖書館 소장
2.2 大正大學 圖書館 소장
2.3 大須文庫 소장
2.4 身延山大學校 圖書館 소장
3. 「보살계본종요」 유통본 대조ㆍ연구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종남 Choi, Jong-Na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