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어 교육에서 역사 문화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Constructing Content of History and Culture in Teaching Korean as an L2

진대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that are or should be dealt with in teaching Korean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L2). Many teachers and researchers have pointed out that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as an L2, culture has often been dealt with in only superficial or fragmentary ways. This paper discusses ways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content around Korean history and culture to enable nonnative learners of Korean to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Korea and enhance their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Section 2 of the paper presents factor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contents for teaching history and culture that have been extracted from relevant prior studies. Section 3 examines the conventional syllabus and approach to constructing contents for teaching Korean history and culture to foreign students and overseas heritage learners.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basing the content of Korean language courses on the concepts of history and culture to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more effective and engaging syllabus design. Therefore, section 4 of the paper proposes alternative methods for constructing the contents of history and culture that can be applied in teaching Korean as an L2.

한국어

이 글에서는 한국어 학습자가 역사 문화를 통해 한국 사회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상호 문화적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음을 전제로 하여 한국어 교육에서 다루고 있거나 다루었으면 하는 역사 문화 내용을 살펴보고 내용 구성의 체계화 방안에 관해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2장에서 역사 문화 교육 내용의 구성 요소와 구성 방식을 추출하고, 다음으로 3장에서 한국 역사 문화 교육 내용의 구성 현황을 외국인 대상 및 재외동포 대상의 교수요목 측면에서 검토해 보았다. 이어서 4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의 틀 안에서 적용 가능한 역사 문화 교육 내용의 구성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문화는 범위가 방대하고 그것을 보는 관점 또한 다양하기 때문에 교육 내용을 체계화하는 것이 만만치 않은 과업이다. 그동안 한국어 교육에서 다루었던 문화 항목들은 표층적이거나 단편적이었다는 지적이 많았던 것도 사실이다. 그리고 앞선 연구들에서 제안한 내용들이 문화 교육의 목록으로서는 큰 의미가 있지만 대부분이 내용 간의 응집성이 부족한 편이었다. 역사 문화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다루는 문화 내용의 체계화 가능성을 탐색하고 역사 문화 교수요목 설계의 단초를 제공한 것은 이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논의된 내용들을 실제 교수학습 현장에 접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추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역사 문화 교육 내용의 구성 요소 및 방식
2.1. 역사 문화 교육 내용의 구성 요소
3. 한국 역사 문화 교육 내용의 구성 현황
3.1. 외국인 대상의 한국 역사 문화 교육 내용
3.2. 재외동포 대상의 한국 역사 문화 교육 내용
4. 한국어 교육을 위한 역사 문화 내용 구성 방안
4.1. 역사 문화 교육 내용의 구성 방안
4.2. 한국어 교육을 위한 역사 문화 내용 구성 사례
5.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진대연 Jin Daeyeon. 호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