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Korean Error analysis of Japanese Public service translation - Focused on Korean translation standards by Japanese Government ministries -
초록
영어
In the 20th century, conferenc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were used as models. On the other hand, the importance of community interpretation and public translation has been growing in the 21st century.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What are the translation standards for public translation?" and “How does the Korean language appear in translation, suggested by the public translation in Japan?” First, we reviewed the public translation standards used in Japan, and examined what they are used for and the types of situations they are used in. Also we came up with some suggestions for public translation policies in Korea. In Japan, one of the main goals of public translation is to provide information for foreign residents and tourists, especially in the event of a disaster. Secondly, I re-examined 1,313 Korean translation standards from 4 guidelines by the Japanese government ministries, and found 677 errors on 501 items. Then we categorized them into 6 error types: type of vocabulary used, word definitions, sentence composition, pragmatic equivalence, unification and standardization errors. In addition, we analyzed them based on the view of translation studies, and prepared amendments. Through these reviews and analysis, we have concluded that there is a need for careful development of translation policies that consider immigrants and tourists, standardize Korean public translation, and expand the scope of domestic language policy to the whole world.
한국어
20세기를 대표하는 통번역이 국제회의 통번역이었다면, 21세기는 지역사회 통번역과 공공번역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번역에 대한 의미와 필요성을 이해하고 일본의 공공번역에서 제시된 한국어 번역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 사회에 접어든 한국사회에서의 공공번역에도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첫 번째로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공번역 표준안을 검토하여 이들이 어떤 목적으로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일본에서는 공공번역이 외국인 이주민 및 관광객을 위한 정보 전달 차원 중에서도 재난상황에서의 정보 전달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 등이 일본에서의 한국어 공공번역의 특징이었다. 그리고 두 번째로 일본 정부기관이 제공하고 있는 한국어 번역 표준안을 분석하였다. 전체 자료는 4가지로 일본 관광청, 기상청, 내각부, 환경청 등 정부기관에서 제시된 1,313 항목의 한국어 번역 표준안을 검토하여 오류를 포함하는 501 항목에서 총 677개의 오류를 찾아냈다. 오류는 어휘 형태 오류, 어휘 의미 오류, 문장구성 오류, 화용적 등가 오류, 통일성 및 표준화 관련 오류 등으로 유형화하고, 이들을 번역학적으로 검토하여 수정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검토 및 분석을 통해 이주민 및 관광객을 위한 세심한 번역정책, 한국어 공공번역의 규범화, 번역을 기반으로 한 한국어 언어정책의 범위 확대 필요성 등을 결론으로 정리하였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목적과 필요성
1.2. 선행연구 분석
2. 오류분석의 연구방법
2.1. 번역안의 오류 분류
2.2. 연구대상과 표준 번역안
3. 번역안 오류의 유형적 분류
3.1. 형태·의미 기준
3.2. 통일성과 표준화
4. 한국어 번역안의 오류분석
4.1. 정서법의 오류
4.2. 어휘 의미의 오류
4.3. 문장구성의 오류
4.4. 화용적 등가 오류
4.5. 통일성과 표준화의 오류
5.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