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이화동 벽화마을과 캐나다 슈메이너스 벽화마을 사례 비교연구

원문정보

A Case Comparison Study on Ewha Mural Towns in Seoul and Chemainus Mural in Vancouver Island

오동훈, 황준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the implications of success factors of sustainable regeneration cases by a case comparison study on Ewha Mural Town in Seoul and Chemainus Mural Town in Vancouver Island which is known as successful case of mural village. In the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cultural policy has entered into the age of glocalization and met with creative city discussions. In terms of cultural strategy and regional development, it has developed into ‘Creative Place-making’ and ‘Creative-based Strategies’. The authors conducted the ‘Creative-based Strategies’ and the discussion of ‘Creative Place-making’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cases. The governance, territorial, and functional aspects for analysis framework were derived. For the sustainable mural village project, partnership and leadership in governance aspect, placeness and embeddedness in territorial aspect and economic/cultural life quality in functional aspect should be accompanied. It is obvious that the role of culture is becoming a necessity in the present age where many cities around the world are making a lot of efforts for city and regional development, and the mural village will function as a valid model serve as an effective model in the future. This study showed three success factors of the mural village regeneration project: Firstly, the strong leadership and partnership should be made between the public, the residents, and the participants. Second, both placeness and territorial de-embeddedness should be secured. Third, if the local economy can be revitalized through various culture-related industries, this urban regeneration project will become sustainabl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도시 가운데, ‘벽화마을’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하는 것으로, 벽화마을 성공사례로서 언급되는 캐나다 슈메이너스 벽화마을을 서울 이화동 벽화마을과 비교분석하여 벽화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재생사례의 성공요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도시재생의 맥락에서 문화정책은 세방화시대에 접어들며 창조도시 논의와 만나 문화전략의 측면에서는 창조적 장소만들기 논의와 지역발전측면에서 창조기반 발전전략으로 발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사례의 비교분석을 위하여 창조기반 발전전략과 창조적 장소만들기의 논의를 통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 분석의 틀로 거버넌스 측면, 영역적 측면, 기능적 측면을 도출하였다. 거버넌스 측면을 통해 벽화마을사업에서의 파트너쉽과 리더쉽, 영역적 측면을 통한 장소성과 배태성의 구축, 기능적 측면을 벽화마을사업을 통한 경제적/문화적 삶의 질의 향상이 동반되어야 지속가능한 벽화마을사업이 가능하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많은 도시들이 자신의 도시와 지역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쏟고 있는 현시대에 문화의 역할은 필수적 요소가 되어가고 있으며, 벽화마을은 향후에도 유효한 모델로서 작용할 것이 자명하다. 도시재생사업으로서의 벽화마을사업의 성공요인은 첫째, 리더쉽과 파트너쉽의 구축이었는데 강력한 리더쉽으로 공공과 주민, 참여자 간의 중재자 및 조정 역할이 수행되고, 이를 통해 공공-주민-참여자간의 강력한 파트너쉽이 형성되어야 한다. 둘째, 장소성과 탈배태성을 확보해야 하고 셋째, 문화 관련 다양한 산업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면 이런 도시재생사업은 지속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2.1. 문화를 통한 도시재생의 개념과 이론 고찰
2.2. 도시마케팅, 장소마케팅, 장소만들기: 창조적 장소만들기
2.3. 문화를 통한 도시재생 관점에서의 사례 분석의 차원 도출
3. 이화동 벽화마을 및 캐나다 슈메이너스 벽화마을 사례 분석
3.1. 사례지역의 개요
3.2. 사례지역의 현황 및 분석
3.3. 사례 비교분석의 결과
3.4. 소결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오동훈 Oh, Dong-Hoon.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교수
  • 황준기 Hwang, Joon Ki.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