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Among the approximately 800 pieces of national movement data related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314 cases and 355 pieces were selected and explained in consideration of the value as a record and preservation status of collections possessd by Korean Christian Museum. The 355 pieces of release data were divided into 'trial-related materials', 'materials written by judicial and police authorities', 'materials for the judiciary, public security, and colonial rule', and 'other materials'. These 'trial-related materials' are part of the execution records such as written judgment related to the national movement incidents or the people. There are various types of records of the independence activis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se data are very important for studying the national movement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current status of the trial-related material is divided into six categories. The first is the trial-related materials related to the assassination case of the 1910s. The second is the trial-related material on the March 1st movement. The third is the trial-related material related to the national movement in the 1920s. The fourth is the trial-related material related to the Gwangju student movement. The fifth is trial-related material related to socialism and communism activities. The sixth is the trial-related material of 1930s. In addition, the use of the 'trial-related materials' can be used as follows: first, it can be used accurately through comparative verification of trial-related data; second, it can be used for deepening and disseminating research on national movement through trial data; Third,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discovery of a new independent activist, and the fourth is that it should be able to publish the source book of the unidentified trial data and provide the internet. It is important to preserve the data, but it is also important to use it, especially if you have unique data that is not verified elsewhere and you want to make better use of the data. It is a well-known fact that materials stored in museums are more difficult to access than public institutions. In this regard, the unidentified material contained in the Korean Christian Museum is likely to be the only material. We should not stay at the above mentioned "explanation of the national movement data" but publish the materials and make them available to more researchers, which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horizons of the national movement research as well as to increase the value as the data.
한국어
기독교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일제강점기 민족운동 관련 자료 약 800여 점 가운데 자료적 가 치와 보존 상태를 고려하여 314건, 355점을 선별하여 해제를 한 것이다. 355점의 해제 자료는 ‘재 판관련 자료’, ‘사법·경찰기관 작성 자료’, ‘사법·치안·식민통치 관련 각종 자료’, 그리고 ‘기타 자료’ 등으로 분류하여 관련 주제별로 구성하였다. 이들 ‘재판 관련 자료’는 민족운동과 관련된 사건 또 는 인물에 대한 판결문 등 행형기록의 일부이다.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들의 행형기록은 다양한 유형의 자료들이 있는데, 이들 자료는 일제강점기 민족운동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재판 관련 자료의 현황을 크게 여섯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첫째는 ‘1910년대 암살사건 관련 재 판자료’, 둘째는 3.1운동 관련 재판 자료, 셋째는 1920년대 민족운동 관련 재판 자료, 넷째는 광주 학생운동 관련 재판자료, 다섯째는 사회주의·공산주의 활동 관련 재판자료 여섯째는 1930년대 재 판 관련 자료이다. 그리고 ‘재판 관련 자료’의 활용으로는 첫째, 재판 관련 자료의 비교 검증을 통해 정확하게 활용 할 수 있다 점, 둘째는 재판자료를 통한 민족운동 연구의 심화와 확산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 셋째는 새로운 독립운동가를 발굴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 넷째, 미확인 재판자 료의 자료집 발간 및 인터넷 제공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점 등을 제안하고 있다. 자료는 보존도 중요하지만 활용도 중요하다, 그중에서도 다른 곳에서 확인되지 않고 유일한 자 료를 소장하고 있는 경우일수록 자료를 보다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박물관에 소장된 자 료는 일반 기관보다 접근하기 더 어려운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런 점에서 기독교 박물관에 소 장하고 있는 미확인 자료는 유일한 자료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판단된다. 앞서 언급한 바 있는 ‘민족운동 자료 해제’에만 머물지 말고 자료집을 간행하여 보다 많은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 록 해야 자료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민족운동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는데 기여 할 것으로 본다.
목차
Ⅱ. ‘재판 관련 자료’의 현황과 성격
Ⅲ. ‘재판 관련 자료’의 활용방안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