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was established in shanhai(上海) on the 10th of April, 1919 and worked till its returning to korea with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t is important to reveal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s role and operating reality. Also It is important to find the origin of National Assembly of Korea. The regulation of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s standing committee was stipulated in The law of the Provisional Congress of April, 1919 and revised the law of the Provisional Congress of September, 1919.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as legislature managed the standing committee divided to branch depend on the role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s administration. The standing committee deliberated national undertaking of administration and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s business was managed as efficiently. Since February 1920(the 7th conference), The standing committee of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managed in earnest. The standing committee was divided eight branch depend on matters under the jurisdiction. Each of branch elected five standing members and they evaluated itinerary to submit. After, standing members reported to Chairman of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The standing committee changed throughout The Provisional Constitution of the 3th amendment of constitution in 1927. When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didn't open, The standing committee actived as kept authority.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reformed constitution for vitalization in 1927. Also, the standing committee changed its character for emergency system. The standing committee administered the affairs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from 1927 to 1940(the 4th amendment of constitution). The standing committee had powerful authority for examination of accounts, agreement of budgeted appropriation, resignation reception of Cabinet Members, study & hearing of independence activity and such.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moved to Chongqing(重慶) far from shanghai after Yoon Bong-gil(尹奉吉)’s patriotic deed in 1932. The standing committee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s Migration Period was managed as efficiently. The working period of The standing committee was required from the end of competent regular session till next regular session. And Provisional Constitution changed from seven persons standing members to three persons in election. The standing committee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s migration period pushed administration’s the installation laws for department of foreign & financial affairs through in 1934.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s large cabinet members got in on the People’s revolutionary party in 1935. Therefore made blank in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The standing committee was handled the crisis. And The standing committee was helped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s military provision after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Since 1927, The standing committee was managed emergency system for maintenance and protection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s Provisional Constitution system for 14 years.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deleted regulations of standing committee in the new Provisional Constitution in the 9th of October, 1940. The standing committee returned original role as provided by The law of the Provisional Congress.
한국어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은 上海에서 1919년 4월 10일 제1회 회의를 개최한 이래, 1945년 해방을 맞아 환국할 때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함께 활동하였다. 임시의정원의 역할과 운영의 실상을 밝히는 것은 임시정부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물론이고 현재 대한민국 국회의 뿌리를 찾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문제이다. 이 글에서는 임시의정원에 설치된 상임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의 구체 적인 실상을 밝혀 임시의정원의 다양한 활동을 조명하였다. 임시의정원 상임위원회는 1919년 4월에 제정한 임시의정원법 과 같은 해 9월 개정 임시의정 원법 에 운영 규정이 명시되어 있다. 입법부의 성격을 갖는 임시의정원이 행정부인 임시정부의 각 부서에 맞게 분과를 나누어 상임위원회를 운영하여 정부의 사업을 심의 감독함으로써 사업이 효 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었다. 임시의정원 상임위원회가 본격적으로 운영된 것은 임시의정원법 개정 이후 처음 열린 1920년 2월 제7회 회의 때부터였다. 상임위원회는 소관사항에 따라 8개과로 나누었는데, 각과에 상임위원 5인을 선정하여 정부에서 제출한 안건을 심사하고 의장에게 보고하 게 되어 있었다. 이렇게 의장에게 보고된 안건은 본 회의에서 처리되었다. 1927년 제3차 개헌에 따른 임시약헌 에 규정된 상임위원회는 임시의정원법 에 규정된 상임 위원회와 달랐다. 임시의정원이 열리지 않을 때도 활동하고 그 직권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1927년 의 헌법 개정이 임시정부의 침체 국면을 타개하기 위한 방편에서 이루어졌듯이 상임위원회도 비 상체제에 대비하여 성격을 바꾼 것이다. 1927년부터 1940년 제4차 헌법 개정때까지 운영된 상임 위원회는 임시정부의 政務 일체를 관여하였고, 국가의 회계 검사, 예산 외의 지출 동의, 국무위원 의 사직 수리, 광복운동과 외교사업에 관한 연구와 심리 등 막강 권한을 가졌다. 1932년 윤봉길의거 후 上海를 떠나 重慶에 정착하기 전 이동시기에 상임위원회는 더욱 효율적 으로 운영되었다. 상임위원회의 활동기간을 당해 년도 정기의회를 마치고 다음 정기의회까지로 명확히 규정하였고, 임시약헌을 손질하여 기존 7명까지 상임위원을 선출하였던 것을 현실화하여 3인으로 구성하도록 하였다. 이동시기 상임위원회는 1934년 정부에서 제출한 외무·재무행서 설치 안을 통과시키고, 1935년에는 민족혁명당에 다수의 임시정부 국무위원이 참여하여 공백이 생기자 이에 신속히 대처하였으며, 1937년 중일전쟁 발발 이후에는 임시정부가 군사태세를 갖추어 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1927년 이후 14년간 지속된 임시약헌 체제에서 상임위원회는 침체된 임시정부 를 유지 옹호하기 비상체제로 운영된 것이다. 1940년 10월 9일 새롭게 개정한 임시약헌으로 상임 위원회 관련 규정이 삭제되면서 임시의정원법 에 규정된 상임위원회로 돌아갔다.
목차
Ⅱ. 임시의정원법의 제정과 상임위원회 설치
Ⅲ. 제3차 임시헌법 개정과 상임위원회 성격 변화
Ⅳ. 이동시기 비상체제에 따른 상임위원회 운영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민국임시의정원법
- 대한민국임시헌법
- 상임위원회
- 국무위원회
- 유일당운동
- 한국독립당
- 국회법
- The Korean Provisional Congress
-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 The law of the Provisional Congress
- The Provisional Constitution
- Government
- standing committee
- central execution committee
- National Unique Party(Minjogyooildang)
- Korean Independence Party
- The law of the Cong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