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기후변화의 사회적 파급효과 연구를 위한 기초적 검토

원문정보

Concerns for Studying Climate Change in Archaeology and Its Social Impacts

이희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limatic change, regarded as one of the factors that induced the cultural changes, have not been appropriately addressed. Because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the temporal scale of climatic changes with certain constrains in reconstructing paleo-environment based on proxy data and historical documents. Thus it is required to have a systematic framework for environmental research in archaeology. First, this paper briefly reviews the scales of climatic change and its social impacts. Centennial-scale climate changes are recognized in generations of the human society. In addition, it is noted that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ree main evidence for reconstructing climatic changes, historical documents, archaeological data and paleo-environmental data, are varied in terms of resolution, interpretation and etc. Second, the direct and indirect-complex causation between climatic changes and social changes are discussed. The results of the direct impacts tend to be short-term, but that of indirect-complex impacts can be spread into the political, social, economic systems of the society. Lastly, two significant concepts and indirect-complex impacts,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are introduced. Vulnerability determines the degree of social responses against climatic changes, on the other hand resilience is the society’s ability to mitigate the results of climatic changes. These make the indirect-complex social impacts of climatic changes. Several research cases are mentioned to explain the roles of resilience. This review aims at providing a simple guidance. It includes identification of climatic change’s temporal scales with the critical review of the evidence, recognition of direct or complex social impacts and the society’s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It is believed that such concepts and considerations make environmental research in archaeology more tangible and realistic with diverse interpretative aspects.

한국어

기후변화는 선사와 고대문화 변동의 동인으로 자주 지목되지만, 고고학연구에서 그 영향과 사 회적 파급효과의 실체에 대한 이해는 모호한 상태이다. 따라서 기후 관련된 고고학연구에 있어서 보다 체계적인 인식의 틀이 필요하며, 향후 이를 구축하기 위한 몇 가지 기초적 검토를 이 논문에 서 시도하였다. 첫째, 시간적 규모에 따른 기후변화(수천 년, 수백 년, 수십 년, 수 년, 연내)의 종류와 특징 및 각 단위별로 인간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의 범위를 살펴보았다. 수백 년 단위부터 인간사회에 본격 적으로 인식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 같은 과거의 기후 변화를 파악하는데 주로 활용되는 문헌 자료, 고고학적 자료와 대리자료를 기반으로 한 고환경 자료는 시간의 정밀도와 해석의 방식 등에 서 차이가 있으므로 기후를 복원하는데 있어 개별적 특성과 한계를 고려해야 한다. 둘째, 기후변 화가 만드는 사회와 문화에의 직접적, 간접적이고 복합적인 영향에 대해 정리하였다. 직접적인 영 향은 기후사건과 인과관계를 쉽게 인지할 수 있고, 사회적 피해가 단기적으로 나타난다. 반면, 기 후변화의 간접적이고 복합적인 영향은 연쇄반응에 의해 사회의 정치, 사회, 경제 분야로 복합적으 로 확산되어 나타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같은 복합적인 기후변화의 사회적 파장을 결정하는 취약성(vulnerability)과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키는 복원력(resilience)에 대한 최근의 논의를 소 개하였다. 취약성과 복원력의 종류와 크기는 해당 사회의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상황에 따라 달 라지며 이들이 어떻게 작용하였는지 여러 연구사례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따라서 향후 기후 관련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대상의 증 거자료의 종류에 따른 특성과 한계를 고려하여, 물리적 기후변화의 규모와 사회에의 영향의 종류 와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그리고 이를 만들어내는 메커니즘을 해당사회의 취약성과 복원력의 개념을 기반으로 추출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과 개념들은 과거 기후변화 와 관련된 연구에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고 보다 구체적이고 통합적인 해석을 도출하는 작업에 기여할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기후변화의 종류와 복원
1. 물리적 기후변화의 규모
2. 고환경 복원의 자료와 해상도
Ⅲ. 기후변화의 사회적 영향
1. 직접적 영향
2. 간접-복합적 영향
Ⅳ. 사회에서의 수용: 취약성과 복원력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희진 Lee, Hee Jin. 고려대학교 문화유산융합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