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tudy on Manufacturing Techniques of Bracket Mural Paintings of Daeungbojeon Hall in Naesosa Temple
초록
영어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were studied by investigating a precise analysis on wall structure, features of materials and the painting layer of the bracket mural paintings at Daeungbojeon Hall in Naesosa temple. The wall frame is a single-branch structure, and The mural paintings are composed of 3 layers which are a support layer, a finishing layer and a painting layer. The support layer and the finishing layer are an earth wall that sand and clay such as Quartz, Feldspar, and etc. are mixed. The support and the finishing layers have a combination of medium particle sand and smaller than fine particle sand in the approximate ratios of 0.8:9.2 and 6:4, respectively. Therefore, the aforementioned ratio of sand with medium or large particles is relatively higher in the finishing layer than the support layer. As a result of a precise analysis on the painting layer, it has a relatively thick ground layer for painting which is maximum 456.15 μm by using Celadonite or Glauconite and the paintings were colored by using pigments such as Atacamite, Kaolinite or Halloysite, Oxidized steel, and etc. on it. The manufacturing style and the painting techniques of an earth wall ar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the Joseon Dynasty style that have been studied up to now, but the facts that the finishing layer has a high content of sand and a middle layer and chopped straw have not been identified. These are remarkable points in terms of structure and materials, and can be crucial in the evaluation of the state of conservation of mural paintings or preparation of a conservation plan.
한국어
내소사 대웅보전 포벽화에 대한 벽체 구조 및 재질특성 그리고 채색층에 대한 정밀분석을 통해 제작기법을 연구하였다. 벽체 골조는 외가지 구조이며, 벽체층과 마감층 그리고 채색층의 세 층위로 구성되어있다. 벽체를 구성하는 벽체층 및 마감층은 석영과 장석류 등 모래와 황토를 혼합하여 제작하였다. 벽체층은 중립사 이상 크기와 세립사 이하 크기가 약 0.8:9.2 비율이고, 내·외부 마감층은 각각 약 6:4 비율로 벽체층보다 중립사 이상의 모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채색층 정밀분석 결과, 뇌록을 사용하여 최대 456.15 μm로 비교적 두꺼운 바탕칠층을 마련하였으며 그 위로 녹염동광 및 백토 그리고 산화철 계통의 안료를 사용하여 채색하였다. 연구결과, 토벽체와 채색층 제작기법은 현재까지 연구된 조선시대 사찰벽화 제작양식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마감층 모래 함량이 높고 중벽 층과 짚여물이 확인되지 않는 점 등은 내소사 대웅보전 포벽화 벽체가 지닌 구조 및 재질특성으로서,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벽화 보존상태 평가 또는 보존처리 방안 마련에 주요 정보가 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2.1. 벽화 육안 조사
2.2. 벽체 재질특성 분석
2.3. 벽체 외가지 및 섬유질 분석
2.4. 채색층 정밀 분석
3. 분석 결과
3.1. 벽화 육안 조사
3.2. 벽체 재질특성 분석
3.3. 벽체 외가지 및 섬유질 분석 결과
3.4. 채색층 정밀 분석
4. 고찰 및 결론
사사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