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량 공공 기록물의 선별적 소독을 위한 미생물 활성도 분석 연구

원문정보

Microbial Activity Analysis for the Selectively Sterilizing of Government‐controlled Bulk Public Archives

김대운, 박가영, 김지원, 강대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n archive is a collection of documents or records. Currently, most archived documents are made of paper. Paper is susceptible to biological damage and deterioration due to its material properties. To control the biological damage, treatment with chemical disinfectants and control of the storage environment are often used. In government-controlled bulk public archives, all documents are chemically sterilized before storage. However, an extremely large quantity of public records have been produced, and storage space and conservation management are gradually reaching their limits. In this study, 60 species of microbes were identified using a genetic method. We successfully applied the adenosine triphosphate (ATP) bioluminescence method to detect microbial contamination on paper documents. A calibration curve of the ATP bioluminescence as a function of the microbe quantity was obtained, and the microbial activity on non-sterilized paper archives from 1951 was analyzed using an ATP luminometer. It was found that the microbial activity was suppressed or reduced in climate-controlled storage environments at 22℃ and 55% relative humidity. We anticipate that these results will be used to establish selective sterilization systems for government-controlled bulk public archives.

한국어

기록물이란 기록이 남아있는 다양한 형태 및 재질을 총칭하며, 현재 종이로 구성된 기록물이 가장 많이 존재한다. 종이는 재질적 특성상 생물학적 손상인자에 의해 쉽게 열화 되며, 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화학약제 소독처리 및 환경조절 을 통해 관리해 왔다. 국가에서 관리하는 대량 기록물 보관처의 경우 입고되는 모든 기록물은 전수소독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공적 기록물의 생산량은 매년 증가되어, 이로 인해 대량 기록물 보관처의 보존관리가 점차 한계에 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선별적 소독기준 제시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보존서고 내 미생물 60종을 대상으로 유전학적 종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현장에서 즉각 사용 가능한 미생물 오염도 분석법인 ATP 생물 발광 반응(ATP bioluminescence) 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생물량에 따른 미생물 활성도 검량선을 작성하였으며, 실제 기록물 보존서고 에 보관중인 미소독 기록물 1951점을 대상으로 미생물 활성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연중 항온항습이 유지되는 조건에서 미생물 활성도는 억제 또는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가 향후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소독처리 방안 및 세부기준수립의 기반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 대상 및 방법
2.1. 연구 대상
2.2. 미소독 보존서고 내 미생물 분포 분석
2.3. 미생물 활성도 분석
2.4. 보존서고 내 보존환경 분석
3. 연구결과
3.1. 미소독 보존서고 내 미생물 분포 분석 결과
3.2. 미생물 활성도 분석 결과
3.3. 보존서고 내 보존환경 분석 결과
4. 고찰 및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대운 Dae Woon Kim. 젠헤리티지 문화재병리연구소
  • 박가영 Ka Young Park. 젠헤리티지 문화재병리연구소
  • 김지원 Ji Won Kim.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강대일 Dai Ill Kan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기술과학대학 문화재보존과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