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한국음악학 자료의 영인⋅번역⋅해제 작업의 흐름과 경향

원문정보

The Current Situation of Photoprint and Translation and the Tendency of Annotation about Korean Musicology Materials housed in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김은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photoprint‧translation‧bibliographic explanation about Korean musicology of the massive materials housed in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The base of Korean Musicology study has expanded through publishing of phoroprint and translation of Korean musicology materials, trying to sharing resources of Korean Musicology. Therefore it needs to be reviewed in terms of securing the basic research materials separately from the studies on Korean Musicology. In the first period(1933~1959) which was an exploring era of resources and primary musical materials were photoprinted as well as related studies materials. In the second period(1960~1979) which was paving the way of Korean musicology, photoprint of the series of old music scores tried in priority. The third period(1980~1999) was when the materials were established. For that the National Gukak Center published the series of the photoprint of Korean musicology materials in the 1980s and the series of the translation in the 1990s thereby many Korean Musicology materials have been in earnest supplied, which are more intensive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and advanced in the studies. In the fourth(2000~) period that is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rough building up the results, existing data are update many academic societies publish the series of translated korean musical historic materials and non-musicology materials are becoming more importance, especially deepening study on Uigwae. The annotations in the photoprinted and translated books or the website of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give a brief information about the source material to star with. However they are getting closely connected with research trends, suggesting a research subject, also that is the result in itself. Looking into Uigwae, old score, music theory book, these days Uigwae related royal court banquet are most active published as photoprint and translation. From now on it's necessary to watch the development of the work and the blind spot of photoprint and translation: resource materials not yet to photoprint and translate, already published version in lower-quality, different version and the text information of the old music scores. Also we can expand active-using digitalized services to save trouble of printing or index of materials.

한국어

이 논문은 방대한 분량의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자료 가운데 한국음악학 관련 자료가 영인‧번역된 현황을 정리하고, 해제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지금까지 한국음악학 연구 자료의 영인과 번역을 통해 적극적인 사료 공유를 시도하며 연구의 저변을 확대시켜 왔는데 이는 연구기초자료의 확보 측면에서 한국음악학 연구와는 별도로 평가되어야 한다. 한국음악학계의 영인·번역의 흐름을 살펴보면 간행주체와 대상에 따라 4시기로 나눌 수 있다. 제 1시기(1933~1959)는 자료 발굴기로 중요하고 기본적인 자료들이 영인되었으며, 인접학문 분야에서도 기초사료의 영인이 이루어졌다. 제 2시기(1960~1979)는 음악자료의 기틀마련기로 고악보 중심의 총서 발간이 이루어졌고, 제 3시기(1980~1999)는 자료의 정착발전기로 이 사업을 이어받아 국립국악원에서 80년대에는 영인본 총서를, 90년대에는 번역본 총서를 발간해내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많은 한국음악학 자료들이 보급되었다. 이를 중심으로 자료가 양적‧질적으로 심화되고 연구도 진전되었다. 제 4시기(2000~현재)는 성과물 축적을 통한 학제간 연구기로 여러 학술단체의 번역총서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의궤분야 연구가 심화되었고, 비음악학 분야 자료가 보다 중요해졌다. 영인‧번역서에 딸린 해제는 연구동향과 자료 특성에 따라 의궤, 악서, 악보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었다. 처음에는 자료의 소개와 연구 소재를 제시하는 것에 그쳤으나 한국음악학의 연구동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해제 자체가 연구성과가 되거나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해주기도 하였으며, 연향관련 의궤가 가장 활발하게 간행되고 있었다. 앞으로 아직 영인되지 않은 의궤, 이미 간행되었으나 품질이 낮거나 판본이 다른 자료, 고악보의 문자정보 등 자료의 사각지대를 잘 살펴 자료를 확보해나가야 한다. 또한 디지털 서비스의 확대로 출판과 색인의 수고를 덜 수 있으므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한국음악학 자료의 영인‧번역의 흐름
3. 연구동향에 따른 주제별 영인‧번역 현황과 해제 경향
4. 맺음말 : 제언과 전망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은지 Kim, Eun-Ji.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