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약용(丁若鏞) 『악서고존(樂書孤存)』의 ‘추려지학(鄒呂之學) 비판’ 고찰

원문정보

On Jeong Yak-yong’s Critique in Akseo gojon of Zou Yan’s and Lü Buwei’s Relic in Music Theory

김세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first half of Akseo gojon 『樂書孤存』 (1811/16), Jeong Yak-yong 丁若鏞 (1762-1836, aka Dasan 茶山) severely criticizes conventional music theories, especially those influenced by the Warring States’ philosophers Zou Yan’s 鄒衍 and Lü Buwei’s 呂不韋 metaphysics. Jeong’s critique is carried out mainly in Part Two and parts of Part Five, on the premises posited in Part One of Gojon. As most of the premises themselves are false in music theoretical terms, most of the critique also proves wrong. In metaphysical terms, however, Jeong’s theory proves more coherent, although lying beyond empirical veri-/falsification.

한국어

『악서고존(樂書孤存)』의 맨 앞 ‘제1소서(小序)’에서 정약용은 이 책이 추려지학(鄒呂之學) 비판을 주된 목적 중 하나로 하고 있음을 명언했다. 그러나 추려지학 비판이라는 측면에서 『악서고존(樂書孤存)』을 조명한 연구는 전무하다. 『악서고존(樂書孤存)』의 ‘논’부는 정약용의 추려지학 비판의 전제, ‘변’부와 ‘정’부 일부는 비판의 실제에 각각 해당한다. 전제들은 음악이론적 전제와 형이상학적 전제로 나누인다. 정약용의 전제들과 추려지학 비판의 실제를 소주제별로 고찰한 결과, (1) 음악이론 측면에서는 정약용 자신이 세운 전제들이 대부분 오류이므로 그에 입각한 비판도 자연히 오류로 귀결되었고, (2) 형이상학적 측면에서는 종래의 설에 비해 정약용의 이론이 나름대로 더 큰 정합성(coherence)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는 검증⋅반증의 영역을 벗어난다는 한계가 있다. 이상을 포함해 『악서고존(樂書孤存)』 전반부의 기존 악론 비판은 과학적, 합리적인 측면보다 형이상학적 정합성을 추구하는 성격이 더 강함을 확인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악서고존』에서 추려지학 비판의 중층적(重層的) 얼개
3. 추려지학 비판의 실제
4. 평가
5.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세중 Kim, Se-Joon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