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까마중 추출물의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효과에 대한 융합적 연구

원문정보

A convergence study of antibacterial effect of solanum nigrum extract on candida albicans

최유리, 강민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tibacterial effect of solanum nigrum extra in candida albicans. In this study,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70% methanol extract and solanum nigraum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 of flavonoids and polyphenol contents in solanum nigrum extracti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determined by spectrophotometric growth inhibition assay(optical density) and colony forming untis (CFU) for the candida albicans. Total contents were flavonoids and polyphenols of solanum nigrum, the result was 8.23±0.13 mg/g and 14.97±1.58 mg/g, respectively. The CFU results showed lower CFU coun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result of the bacterial viability was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fore the extracts of solanum nigrum were found to have antimicrobial activity in candida albicans. From the these results, solanum nigrum extracts have a possibility to be a candidate for natural antibacterial components in dental product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까마중추출물의 캔디다 알비칸스의 항균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까마중을 70퍼센트 메탄올에 추출하였다. 추출물의 성분분석을 위해 까마중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까마중 추출물의 캔디다 알비칸스의 항균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생존률을 OD값으로 측정하였고, 증식능력을 CFU로 측정하였다. 까마중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각 각 8.23±0.13 mg/g와 14.97±1.58 mg/g로 나타났다. CFU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에서 CFU 값이 낮게 나타났다. 균의 활성도를 평가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 에서 더 낮은 균활성도 값을 보여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까마중 추출물의 항균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 까마중 추출물은 칸디다균뿐만 아니라 치과분야에서 천연 항균제로 사용될 수 있을 가능성이 보인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2.1 까마중 추출물 제조
2.2 균배양
2.3 균집락 형성평가
2.4 균활성도 평가
2.5 폴리페놀 함량 분석
2.6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3. 연구 결과
3.1. CFU 결과
3.2 세균활성도 결과
3.3 까마중내의 플라보노이드 및 폴리페놀 함량
4. 총괄 및 고안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최유리 Yu-Ri Choi. 한림성심대학교 치위생과 교수
  • 강민경 Min-Kyung Kang. 한서대학교 치위생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