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KOSDAQ 상장기업의 연구개발투자 결정요인
초록
영어
In an increasing competitive environment, companies are all faced with strong need to come up with excellent new products and technology as well as improve their existing products to meet customer needs. Such innovation is a must for them to survive and prosper in such fierce competition. In this regard, expenditure in R&D appears to be an essential factor to enhance productiv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a theoretical model to identify determinants of KOSDAQ- listed firms’ R&D expenditure and offer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theoretical model through panel data analysis of panel data that includes both time-series and cross-section data of those companies. The empirical analysis had been conducted for 6 years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16. Total 982 companies were selected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ccounting data required was extracted from KOCOINFO, a database provided by the Korea Listed Company Association. The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all variables excluding the sales growth rate and debt ratio make statistically meaningful factors explaining R&D expenditure. Second, the ratio of market value to book value, equity ratio of one large shareholder, net working capital ratio, and signs of regression coefficient to advertising expenses all go in line with the theory. The regression coefficient signs concerning company scale show negative value. Also, sales growth rate and debt ratio were found to have negative impact on R&D expenditure. Third, the dummy variable on increase and decrease of market value to book value ratio is found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has negative impact on R&D investment spending. Dummy variables on market value to book value ratio and increase and decrease of market value to book value ratio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have negative impact on R&D investment spending. The research is distinct from preceding studies in the following aspect. First, it used panel data estimation methods to address heterogeneity issues which may occur from omission of variables not observed. Next, the research performed an empirical analysis of KOSDAQ-listed firms during a recent six-year period. Last, the research added dummy variables on increase and decrease of market value to book value and market value to book value ratio and also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at. However, it has some limitations as stated below. First, it used figures in financial statements of KOSDAQ-listed companies to estimate their R&D spending. But there is a room for discrepancy between the estimation and the actual spending due to ambiguity in accounting management relating to R&D activ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imate R&D expenditures with higher accuracy along side other data and information in addition to financial statement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 determinants of R&D investment and spending not measured and the actual R&D expenditure is not clearly explained herein. A more organized research is need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variables and determinants. The fourth is, if a company is under influence of other external factors such as economic slump, the validity and relevance of R&D expenditure model based on financial ratios would be affected. To complement this, a new model reflecting other financial and non-financial elements shall be established.
한국어
무한경쟁 속에서 기업이 생존하고 발전하기 위해서 우수한 신제품과 신기술을 개발하고, 기존의 제품을 개량 하여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혁신이 필요하다. R&D 투자지출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필수적인 요인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KOSDAQ 상장기업의 R&D 투자지출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모형 설정, KOSDAQ 상장 기업의 시계열 자료와 횡단면 자료 결합한 패널자료, 패널자료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기간은 2011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6년간이고, 최종 선정된 표본은 982개 기업이다. 본 연구에 필요한 회계자료는 한국상장회사협의회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인 KOCOINFO에서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매출액증가율, 부채비율을 제외한 모든 변수들이 R&D 투자지출을 설명하여 주는 유의적인 변수로 나타났다. 둘째, 시장가치 대 장부가치비율, 대주주1인 지분율, 순운전자본비율, 광고비지출에 대한 회귀계수 부호는 이론과 일치하고 있다. 기업규모에 대한 회귀계수의 부호는 이론과 반대로 부(-)의 부호를 보이고 있다. 매출액 증가율과 부채비율은 R&D 투자지출에 비유의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장가치 대 장부가치비율증감률 가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이고 R&D 투자지출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가치 대 장부가치비율과 시장가치 대 장부가치비율증감률 가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이고 R&D 투자지출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은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화되고 있다. 첫째, 본 연구는 관측되지 않는 변수를 생략하는 데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이질성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패 널자료추정법을 사용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최근 6년간의 KOSDAQ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시장가치 대 장부가치비율증감률 가변수 및 시장가치 대 장부가치비율과 시장가치 대 장부가치비율증감률 가변수를 각각 추가하고 패널자료추정법을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한계점은 아래와 같다. 첫째, 본 연구는 KOSDAQ 상장기업의 R&D 투자지출액을 산출하기 위해서 KOSDAQ 상장기업의 재무제표 상의 수치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연구개발활동에 관련된 회계처리의 모호성 등을 감안할 때 KOSDAQ 상장기 업의 실제 R&D 투자지출액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의 R&D 투자지출액 산출 시, 재무제표 이외의 타 자료를 보완하여 정확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계량화가 어려운 기타 R&D 투자지출 결정요인 변수들과 R&D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이들 변수들과 결정요인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기업이 경기불황과 타 부분의 환경요인으로 인하여 영향을 받을 경우, 재무비율에 의한 R&D 투자지출 모형의 설명 력이 낮아질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기타 재무적 및 비재무적 요인을 반영한 새로운 모형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Structural Framework for empirical analysis
3.1 Data
3.2 Variables
3.3 Model
Ⅳ. Result
4.1 Descriptive Statistics
4.2 Correlation
4.3 Lagrange Multiplier test and Hausman test
4.4 The analysis of model (1)
4.5 The analysis of model (2)
4.6 The analysis of model (3)
Ⅴ. Conclusions
국문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