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문 후속세대

이옥의 사대부 의식 - 『봉성문여(鳳城文餘)』 및 제(諸) 시문(詩文)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Yi Ok’s Confucian Literary Consciousness : Focusing on Various Short Prose Pieces Such as “Bongseong-moonyeo鳳城文餘”

최선혜

이화어문학회 이화어문논집 제46집 2018.12 pp.179-19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onsciousness of Yi Ok (李鈺, 1760-1812) by examining “Bongseong-moonyeo鳳城文餘,” “Dokjoomoon讀朱文”, and “Jemunsinmoon祭文神 文.” Yi Ok lived in the city that was the center of Confucianism, and was merely a young student when he wrote these works. Was he a symbol of resistance to social oppression? Was he intended to be an icon of rebellion? Yi Ok was punished by the King for two years when he was in his mid thirties. He was prevented from taking the management selection examination, and as a result of an administrative error, he had to make an arduous journey. “Bongseong-moonyeo,” which he wrote on this journey, was considered a symbol of resistance. Yi Ok faithfully fulfilled the King's orders, he tried to submit a response to the King's command, and also served in the army, but as much as he tried to conform to the system, the system rejected him. Despite this, Yi Ok carried out the King’s orders faithfully, and had a strong sense of bureaucratic duty. Although people tend to think of the middle class as having been held back, they did have the chance to serve in the bureaucracy in Gyujanggak. After changes in the regulations, Yi Ok retook the exam by fitted answer and served in the military. Paradoxically, the more he tried, the more he was rejected. Later, Yi Ok made a crack in the stubborn literature system enforced by the King. However, this article focuses on a paradoxical situation that was not his intention. Yi Ok embodied an authentic literary style in the 18th century. This article examines this aspect through his writings. Between conservative values and innovative writing, I will try to fill in the empty space of Yi Ok as a writer.

한국어

본고는 이옥(李鈺, 1760-1812)의 저작 중『봉성문여(鳳城文餘)』와 「독주문」, 「제문신문」 등 여러 시문에서 형상화된 사대부 의식을 밝히는 데 목적을두었다. 주자학이 강고했던 시대에서 이옥의 사회적 지위는 서얼 가문 출신 유생에 지나지 않았다. 36세(1796)와 37세(1797)에 소품문체를 이유로 군왕에게 과거 응시에 관한 제재를 받았다. 이후 행정상의 절차 오류로 인하여1799년 10월 다시 삼가현으로 내려갔다가 다음해 2월 서울로 돌아왔다. 이여정에서 이옥은 『봉성문여』를 창작하며 소품문체로 문학적 저항을 하였던 인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이옥의 실상은 정조의 명령을 성실히 이행하였던, 예비 사대부의식을 지닌 유생이었다. 서얼이란 사회적 지위에서 연상되는 울울한 이미지와 달리 당대는 서얼에게 규장각 각리의 길이 열려 있었다. 이옥은처분을 받고도 다시 과거에 응시하여 군왕의 기준에 맞는 답안을 제출하기 위하여 노력하였고, 충군에도 성실했다. 그러나 체제에 순응하려 할수록 도리어 체제에 거부당하는 역설이 반복되었다. 훗날 이옥은 주자학이 지배하던 완고한 고문 체제에 균열을 일으켰던아이콘으로서 연구되었다. 그러나 본고는 이옥이 의도하지 않았던 역설, 체제에 순응하고자 하였으나 소품문을 구사하였기 때문에 당대의 강고한고문 체제에 균열을 가속하였던 정황에 주목하였다. 여러 시문 및 『봉성문여』와 같은 소품문을 살펴보면 옛적 채시관의 책무대로 지역의 낯선풍속과 노래 등을 수집하여 왕도의 교화에 보탬이 되고자 했던 의도를 읽을 수 있다. 그리하여 핍진한 인정물태와 문체의 혁신성에 주력하는 연구사 사이에서 보수적인 사대부 의식을 지닌, 소품문체를 구사하는 유생 문인이라는 빈 공간을 채워 넣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개요>
1. 서론
2. 이옥의 생애와 『봉성문여』의 창작 배경
3. 이옥의 문학 속 사대부 의식
3.1. 『봉성문여』 속 영남의 대상화
3.2. 채시(采詩)하며 감계하는 글쓰기
3.3. 제 시문의 사대부 의식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선혜 Choi, Seon-hye. 선문대학교 교양학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