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체육계열 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가족ㆍ친구ㆍ교수의 사회적지지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from Family, Friend, and Professor on the 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문성연, 이봉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from family, friend, and professor on the 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targeting th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For this, with the use of random sampling,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352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of four universities in Daegu and Gyeongsan regions. Using the SPSS 23.0 Program for the collected survey data, th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th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Second, the social support from family, friend and professor showed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Such results imply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seek for the measures for actively utilizing the surrounding social capital and the resilience as an internal characteristic of individuals for reinforcing the ability to adapt themselves to university lif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체육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가족, 친구, 교수의 사회적지지 매 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 및 경산지역의 4개 대학교 체육계열학과에 재학 중인 352명을 임의 표본추출법으로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 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체육계열 대학 생이 인식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가족, 친구 및 교수의 사회적지지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체육계열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개인 내적 특성인 회복탄력성과 주변의 사회적 자본을 적 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과 가설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도구
3.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4. 자료 처리
Ⅲ. 결과
1. 연구변인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2. 체육계열 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3. 체육계열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ㆍ친구ㆍ교수의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문성연 Moon, Seong-Yun. 경운대학교
  • 이봉근 Lee, Bong-Geun. 경운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