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Potential Applicability of Moist-soil Management Wetland as Migratory Waterbird Habitat in Republic of Korea

원문정보

이동성 물새 서식지로서 습윤토양관리 습지의 국내 적용 가능성

Marla L. Steele, Jihyun Yoon, Jae Geun Kim, Sung-Ryong Kang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land wetlands in the Republic of Korea provide key breeding and wintering habitats, while coastal wetlands provide nutrient-rich habitats for stopover sites for East Asia/Australasia Flyway(EAAF) migrants. However, since the 1960’s, Korea has reclaimed these coastal wetlands gradually for agriculture and urban expansion. The habitat loss has rippled across global populations of migrant shorebirds in EAAF. To protect a similar loss, the United States, specifically Missouri, developed the moist-soil management technique. Wetland impoundments are constructed from levees with water-flow control gates with specific soils, topography, available water sources, and target goals. The impoundments are subjected to a combination of carefully timed and regulated flooding and drawdown regimes with occasional soil disturbance. This serves a dual purpose of removing undesirable vegetation, while maximizing habitat and forage for wildlife. Flooding and drawdown schedules must be dynamic with constantly shifting climate conditions. Korea’s latitude (N33°25'~ N38°37') is comparable to Missouri (N36°69'~ N40°41'); as such, moist-soil management could prove to be an effective wetland restoration technique for Korea. In order to meet specific conservation goals (i.e. shorebird staging site restoration), it is necessary to test the proposed methodology on a site that can meet the required specifications for moist-soil management. Moist-soil management has the potential to not only create key habitat for endangered wildlife, but also provide valuable ecosystem services, including water filtration.

한국어

한국의 내륙습지는 동아시아-대양주 철새 이동경로 상 중요한 번식지 및 월동지를 제공하고 있고, 연안습지는 철새들에게 영양분이 풍부한 중간기착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1960년대 이후, 한국은 농경지와 도심 확장을 위해 점진적으로 연안습지를 매립하였고, 야생생물 연안습지 서식지 손실로 인한 이동성 물새 개체수 감소를 야기 하였다. 미국(특히, 미주리 주)은 이러한 습지 야생생물 다양성 및 개체수 감소를 막기 위해 습윤토양관리 기법을 개발 하여 야생생물 서식지 보전과 개체수 관리를 하고 있다. 습윤토양관리 기법은 습지 야생생물의 서식지 조건을 최대한 충족하는 상태로 습지를 관리하여 서식지 수용력을 높이는 습지관리 기법이다. 습윤토양관리 지역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제방과 물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수문을 만들고, 토양, 지형, 가용한 수원 등을 관리 하여야 한다. 또한, 습윤토양관리 지역은 범람과 배수지역을 정기적으로 특정시기에 관리하고, 다년생 식물생장으로 인한 육상화 억제를 위해 일정기간 동안의 토양교란으로 서식지를 관리 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리 기법은 두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 하나는 원하지 않은 식물 생육 통제이고, 다른 하나는 야생생물의 서식지와 먹이원을 최대화 하기 위함이다. 범람과 배수 일정은 지역을 고려한 기후적인 변화에 맞도록 유동적으로 반영하여야 한다. 한국의 위도는 미주리 주와 유사해서 습윤토양관리 기법이 한국에 맞는 효과적인 습지조성 및 관리기법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동성 물새(도요·물떼새) 중간기착지와 같은 서식지로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연안습지 인근지역에서 습윤토양관리 기법을 실험적으로 적용하여 한국의 여건(지리, 미기후, 생물종 분포 등)에 맞는지 세부적인 방법을 모색해 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습윤토양관리 기법은 멸종위기 야생생물들에게 주요 서식지를 조성해 줄 뿐만 아니라, 폭넓은 습지 생태계서비스 가치를 함께 제공해 줄 것이다.

목차

Abstract
요약
1. Background
2. Introduction of moist-soil management
3. Practice of moist-soil management
3.1 Site selection and design
3.2 Water quality and delivery system
3.3 Flooding, drawdown, and disturbance regime
3.4 Management evaluations
4. Potential application of moist-soil management wetland in Korea
5. Conclusions
Acknowledge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Marla L. Steele International Cooperation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Jihyun Yoon Graduate School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Environmental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Jae Geun Kim 김재근. Department of Biological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Seoul National University
  • Sung-Ryong Kang 강성룡. International Cooperation Team,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