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영어
Wetlands of Dongbaekdongsan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of pond and vernal pool. 11 plant communities are established there such as Nymphoides indica community, Sparganium stoloniferum Community, Persicaria hastato-auriculata community, Scirpus triangulatus community, Triadenum japonica community, Juncus papillosus community, Deinostema violacea community, Centipeda minima community, Apocynum sibiricum community, Isachne globosa community, and Ulmus parvifolia community. Nymphoides indica community is established in a pond located on the entrance of the Dongbaekdongsan and Persicaria hastatoauriculata community appears on edge of the pond. Sparganium stoloniferum community is formed in nearby pond with relatively shallow water and Persicaria hastatoauriculata community is established on margin of the pond. Vernal pools had been used for drinking water source and for livestock in some cases in the past. Scirpus triangulatus community is established in the most wet site as the center of the pools and Juncus papillosus community - Deinostema violacea community - Triadenum japonica community, and Apocynum sibiricum community appear in a concentric circle pattern as far away there. Ulmus parvifolia community is established in a dry vernal pool. This is the first study on vernal pool carried out in Korea. Therefore, most vegetation types are new ones different from existing studies on wetland.
한국어
동백동산 습지는 못과 한시적 못으로 구분되었다. 어리연꽃군락, 흑삼릉군락, 좁은잎미꾸리낚시군락, 송이고랭이군락, 물고추나물군 락, 청비녀골풀군락, 진땅고추풀군락, 중대가리풀군락, 수궁초군락, 기장대풀군락 및 참느릅나무군락의 11개 식물군락이 성립해 있다. 어리연꽃 군락은 동백동산입구에 위치한 한 못에 성립해 있고 좁은잎미꾸리낚시군락은 그 못의 가장자리에 성립해 있다. 흑삼릉군락은 수심이 비교적 낮은 인근의 못에 성립해 있고 그 못의 가장자리에도 좁은잎미꾸리낚시군락이 성립해 있다. 한시적 못은 과거 식수원으로 사용되었고 일부에서는 가축의 물먹이공간으로도 사용되었다. 송이고랭이군락은 그 못의 중심으로서 가장 습한 곳에 성립하고 청비녀골풀군락-진땅고추풀군락-물고추나물군락 및 수궁초군락이 그곳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동심원 구조로 성립해 있다. 참느릅나무군락은 상대적으로 더 건조한 한시적 못에 성립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한시적 못에 대해 처음으로 이루어진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혀진 대부분의 식생유형은 습지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 다른 새로운 유형으로서 그 가치가 있다.
목차
요약
1. INTRODUCTION
2. Material and Methods
2.1 Study area
2.2 Methods
3. Results
3.1 Vegetation status
3.2 A comparison of species composition among plant communities
4. Discussion
4.1 Wetland type
4.2 Functions and value of wetland
4.3 Ecological importance of vernal pool
5. Conclusion
Acknowledgements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