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Analysis of Factors Impact of Disabled’s Disability Acceptance on Job Satisfaction
초록
영어
The study was design to examine the degree of disabil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s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workers’ disability acceptance. The 8th year data from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as used to extracting 2270 disable wage-workers who met the study purpose as a sample. The moderate effect was verified by using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 disability acceptance of disabled wage workers presente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the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on job satisfaction differed by the degree of disability. Third, the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on job satisfaction differed by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s. Which refers that the study identify the cushion of degree of disability and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wage worker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can be used as a practical implication and basic data for the program developments improving the job satisfaction of disabled wage workers.
한국어
본 연구는 임금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일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데 있어 장애정도 및 차별경험의 조절효과 검증 을 목적으로 하였다. 위의 내용을 연구하기 위해 장애인 고용 패널조사 중 제 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장애인 임금근로자 2,270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조절효과는 회귀분석을 활용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임 금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은 일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수용이 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장애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수용이 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차별경험에 따라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임금근로 장애인의 일 만족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애정도와 차별경험이 완충작용을 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임금근로 장애인의 일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와 실천적 함의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2.2 측정도구
2.3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3.2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량
3.3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3.4 연구모형의 분석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