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디어 유형과 메시지 유형이 CSR 공익캠페인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해석수준 이론과 자기 해석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Effects of the Social Distance by Media Types and Self-Construal on CSR Participation Intention

구자경, 김희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congruency between media-social distances and message types affect persuasion effect of CSR campaign, based on Construal-level Theory. The self-construal is also included to examine its moderating role in the media-message interaction effects on the persuasion. Methods Two media types (distal vs. proximal: newspapers vs Facebook) and two message types (construal level: desirability vs. feasibility) were used to manipulate four experimental advertisements, and self-construal was measured for individual self-perception. We analyze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media and message type on CSR participation intention, and how this difference was affected by the different self-construal tendencies. Results For social media(proximal media), messages emphasizing feasibility(low-level construal) resulted in a higher engagement intention with the CSR campaign, than messages emphasizing desirability. On the other hand, messages emphasizing desirability(high-level construal) were more effective, when exposed in newspaper(distal media). The difference in the persuasion effect between media types and message types, according to self-construal variable, was marginally proven. Conclusions While previous studies have limited the analysis of social distance to only interpersonal dimen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media type itself can generate social distance and differences in message construal levels. Accordingly, it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appropriate message strategies.

한국어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수용자의 외부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미디어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따라 메시지 유형별 효과 가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 내부적인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자기 해석이 그러한 미디어와 메시지 효과에 조 절 작용을 하는지 CSR 캠페인의 참여 의도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미디어 유형: 먼 신문 vs 가까운 SNS) × 2(메시지 유형: 당위성 vs 실행 가능성) 요인 설계로 대 학생들에게 설문 조사로 진행되었다, 미디어와 메시지는 CSR 캠페인 광고물 4종으로 제작되어 독립 변인 으로, 자기 해석은 설문 문항으로 측정되었으며 조절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결과 사회적 거리감이 가까운 소셜 미디어에 노출될 경우에는 바림직성보다 실행 가능성을 강조한 메시지에 대해 서 CSR 캠페인 참여 의도가 높은 반면, 사회적 거리감이 먼 신문에 노출될 경우는 실행 가능성보다 바람직 성을 강조한 메시지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자기 해석의 조절 작용은 독립적 집단의 경우 심리적 거리와 메시지의 해석수준이 일치하는 경우에 CSR 캠페인 참여 의사가 높았던 반면, 상호 의존적 집단의 경우에는 이러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기존의 연구가 주로 사회적 거리감을 집단이나 개인 등 사람들과의 차원에 국한해 연구한 반면, 본 연구는 매체 유형 자체로도 사회적 거리감이 발생함을 확인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메시지 전략에 대한 이론적, 실무 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서론
이론적 논의 및 가설 설정
해석수준 이론: 심리적 거리와 추상적 사고의 이해
미디어 유형에 따른 심리적 거리감의 차이
심리적 거리에 따른 메시지 적합성
자기 해석이 CSR 공익캠페인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방법
실험 설계, 실험 절차 및 대상
변수의 측정
연구 결과
조작 점검
미디어 유형과 메시지 제시 방법이 CSR 활동의 참여 의도에 미치는 효과 검증
자기 해석 성향이 미디어 유형과 메시지 유형에 의한 CSR 참여 의사에 미치는 조절 효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Abstract
부록

저자정보

  • 구자경 Gu Ja Kyung.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
  • 김희진 Heejin Kim.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