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집단 요리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비장애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s of Group Cooking Program on Executive Function of the Non-disabled Children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

이초희, 권선정, 이승민, 제영현, 조예나, 김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ccupation-based group cooking program on executive function for children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 Methods :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7 to 9 years old. This study was based on a one-group pre-posttest design, which the group cooking program included making of sandwiches, frog-shaped hamburgers, patbingsu, sausage gimbap, and flowerpot cupcake. This study consisted of five activity sessions, which each session lasted for 120 minutes.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measured by using the STROOP Color and Word Test, Children’s Color Trails Test and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Results : The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scores on STROOP Color and Word Test and the process skill score of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no difference significantly between pre and posttest scores in Children’s Color Trails Test-2.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group cooking program intervention has effects on cognitive inhibition executive function and performance executive function of children in the community children’s center. This study suggests that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lients in the community setting.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에 기반을 둔 집단 요리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비장애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만 6~9세 아동 6명이 2017년 7월부터 2017년 8월까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 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을 대상으로 집단 요리활동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중재 전・후에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 검사(STROOP Color and Word Test), 아동 색 선로 검사(Children’s Color Trails Test), 운동처리기술평가(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를 사용하여 아동들의 실행기능을 평가하여 프 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결과 : 중재 전과 비교하여 중재 후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 검사와 운동처리기술평가의 처리기술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아동 색 선로 검사에 있어 중재 전 점수와 중재 후 점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결론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비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집단 요리활동 프로그램 중재가 인지적 억제 실행기능과 수행 실행기능에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작업에 기반을 둔 중재 접근이 지역사회의 다양한 대상들에 게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2. 연구 과정
3. 연구 도구
4. 집단 요리활동 중재 프로그램
5.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수행 실행기능에 대한 프로그램 전·후 비교
2. 인지적 유연성 실행기능에 대한 프로그램 전·후 비교
3. 인지적 억제 실행기능에 대한 프로그램 전·후 비교
Ⅳ. 고찰
Ⅴ. 결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이초희 Lee, Cho-Hee.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권선정 Gwon, Sun-Jeong. 순천향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이승민 Lee, Seung-Min. 순천향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제영현 Je, Young-Hyeon. 순천향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조예나 Jo, Ye-Na. 순천향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김은영 Kim, EunYoung. 순천향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