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여성 소비자의 골프웨어 추구혜택에 따른 구매행동 - 추구이미지, 패션혁신성, 패션관여, 의복평가기준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Purchasing Behavior by Female Consumers’ Benefits of Golf Wear - Focused on Pursued Images, Fashion Innovativeness, Fashion Involvement, and Garment Quality Evaluation -

한희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ifestyle change and expansion of leisure industry led to an increase of female and young golfers in golf participation, and this extended golf wear market with expansive use as casual outf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pursued images, fashion innovativeness, fashion involvement, and garment quality evaluation(GQE) of golf wear among female groups segmented by benefits of golf wear.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survey from 500 subjects with the experiences of purchasing golf wear, and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cluster analysis, chi-square analysis, ANOVA, and frequency analysis were used with SPSS 21.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ve segment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benefits of golf wear, those are the passive ostentation-oriented, the practical individuality-oriented, the positive ostentation-oriented, the individual attraction-oriented, and the practicality-oriented. Regarding images pursued of golf wear, four factors were formulated, which are luxurious/fashionable, active, splendid, and neat imag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ursued images, fashion innovativeness, fashion involvement and GQE among the segments. The positive ostentation-oriented showed high level of monthly income, pursued images and GQE, and tended to consider golf wear from various angles of design and functionality. The passive ostentation-oriented showed generally passive propensity of golf wear with low level of pursued images and GQE. The practical individuality-oriented tended to be in middle degree of pursued images, and thought highly of performance cue of GQE. The individual attraction-oriented showed high degree of monthly income, luxurious/fashionable and splendid images, and appearance cue of GQE. The practicality-oriented considered significantly neat style image and performance cue of GQE.

한국어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레저 산업의 확장으로 골프인구가 여성과 젊은 층으로 확대되었고 또한 골프웨어 를 일상적 캐주얼 의류로 겸용하는 활용성으로 관련 시장이 확장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소비 자의 골프웨어에 대한 추구혜택에 따라 세분화된 집단의 골프웨어에서 추구하는 이미지와 패션혁신성, 패션 관여, 그리고 의복평가기준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여성 20대 이상으로 최근 2년간 골프웨어 구매 경험자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고, SPSS 21.0의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군집분석, 교차분석, 분산분석,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골프웨어 추구혜택 차원을 기준으로 소극적 과시성 추구집단, 실용적 개성 추구집단, 적극적 과시성 추구집단, 개성적 매력성 추구집단, 실용성 추구집단의 다섯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골프웨어 추구이미지는 고급/패션감각적, 활동적, 화려한, 차분한 이미지의 네 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골프웨어 추구혜택 각 집단의 특성 차이를 살펴본 결 과, 적극적 과시성 추구집단은 고소득층의 비율이 높고 모든 추구이미지와 의복평가기준을 중요시하는 것으 로 나타나 골프웨어에서 디자인과 기능성 등 다각도적 측면에서 고려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소극적 과시성 추구집단은 전체적으로 골프웨어 추구이미지와 의복평가기준의 각 요인에 대한 고려 정도가 낮았고 골프웨 어에 전체적으로 소극적인 성향이었다. 그리고 실용적 개성 추구집단은 전체 추구이미지에 대해 중간 수준이 었고 의복평가기준에서 성능적 요인을 중시하였다. 개성적 매력성 추구집단은 상대적으로 고소득층이 다수 분포되었고 고급/패션감각적 이미지와 화려한 이미지의 선호도가 높았으며 골프웨어 평가에서 디자인 등 외 관적 특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실용성 추구집단은 단순한 스타일과 의복품질 중에서 성능에 대한 고려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골프웨어 추구혜택
2. 골프웨어 추구이미지
3. 패션혁신성 및 패션관여와 의복 평가기준
Ⅲ.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조사 대상 및 자료 수집
3. 자료 분석
Ⅳ. 연구결과
1. 골프웨어 추구혜택과 추구이미지
2. 패션혁신성, 패션관여, 의복평가기준의 신뢰도 분석
3. 골프웨어 추구혜택 군집분석과 집단의 특성
V.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한희정 Han, Heejung. 계명대학교 패션디자인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