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구유동 자료로 살펴본 상업 집적지의 시공간적 변화 : 2016년~2017년 사이의 홍대지역을 사례로

원문정보

Spatio-temporal Changes of the Agglomerated Marketplace by Use of the Pedestrian Flow Data : A Case Study of Hongdae Area

김완희, 임종서, 송아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agglomerated marketplaces in the city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m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lately. In the present study, we estimated geographic dimensions of the agglomerated marketplace on April 2016, October 2016, and April 2017, and interpreted the spatial pattern occurred in the area located neighboring Hongik University (Hongdae). To detect a spatial range of the agglomerated marketplace, we used pedestrian flow data and the restaurant business status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pedestrian flow data, it was confirmed that the spatial extent of Hongdae agglomerated marketplace gradually expanded, especially to the northward and southward directions. Similar spatial changes were detected in the restaurant data, but the amount of change was slightly smaller. The Hongdae area, the Shinchon Yidae street, and the Manglidan street have formed discrete agglomerated area without showing their connectivity. Overall, the spatial changes of Hongdae agglomerated marketplace were confirmed to be extended beyond the existing spatial range, which was saturated, to the residential area where rent fees are relatively cheaper.

한국어

도시 내 상업지역의 지리적 분포 양상과 그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업 집적지의 공간적 변화가 활발히 일어나는 홍대지역을 사례로 상업 집적지의 시공간적 변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에는 비교적 짧은 기간에 발생한 상업 집적지의 공간적 범위 변화를 탐지하는 데에 적합성이 높은 유동인구 자료와 기존의 연구들에서 활용한 요식업 현황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각각 2016 4월년부터 2017년 4월까지 세 개 시점의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인구유동 자료에 기반을 둔 분석 결과, 홍대지역 상업 집적지의 공간적 범위가 점차 확장되었으며 특히 북측 방향과 남측 방향으로 크게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요식업 현황 자료에서도 유사한 공간적 변화가 탐지되었으나, 변화량이 다소 적게 나타났다. 홍대지역과 신촌·이대거 리, 망리단길은 상업 집적지 간의 연결성이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고 별개의 집적지를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홍대지역 의 상업 집적지는 포화상태인 기존의 공간적 범위를 벗어나 임대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주택가로 확장되는 형태로 변화해나간다는 점이 재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자료와 방법론 및 정량적 분석 결과는 젠트리피케이션을 비롯하여 도시공간구조 변화와 관련된 논의들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선행 연구
1. 도시공간구조와 상업지역 관련 연구
2. 집적지의 탐지와 공간적 범위 설정 연구
III. 연구 자료와 분석방법
1. 시간적 범위와 자료
2. 분석방법: AMOEBA
IV. 연구지역
1. 연구의 공간적 범위
2. 홍대지역의 상업화 과정
V. 연구 결과 및 토의
1. 법정동별 분석결과
2. 세부 구역별 분석결과
3.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
VI.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완희 Wanhee Kim.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석사과정
  • 임종서 Jongseo Yim.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박사과정
  • 송아현 Ahyun Song.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