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체육수업에서 심리적 욕구만족, 수업참여 및 신체활동 간의 관계에서 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

원문정보

A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ed Satisfaction,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Activity

문호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test if middle school students’ self-determined motivation moderated the mediation effect of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The subjects were 347 middle school students (197 males, 150 females) and they completed a set of questionnaires measuring need satisfaction, motivation, engagement, an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Data were conduc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need satisfaction was a predictor of class engagement and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and that it positively influenced to physical activity through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The result of the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on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via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was moderated by the low and high level of students’ self-determined motiv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iddle school students are should participate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physical activity when the physical educator satisfies the pupils’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intrinsic motivatio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체육시간에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만족이 수업참여를 통해 방과 후 신 체활동량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자기결정적 동기 수준이 수업참여 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347명(남학생 197명, 여학생 150명)이며, 기본 심리적 욕구만족, 체육수업 참여, 자기결정적 동기, 그리고 방과후 신체활동을 측정하는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 심리적 욕구만족은 중학생의 수 업참여와 방과후 신체활동량을 예측하는 변수로서 수업참여를 통해 신체활동량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 회귀분석의 결과, 체육시간에 중학생들의 심리적 욕구만족이 수업참 여를 통해 방과후 신체활동량에 미치는 효과는 체육수업에 대한 자기결정적 동기 수준에 의해 영 향을 받는다. 본 연구결과는 체육교사가 중학생들의 자율성과 유능성, 그리고 관계성 욕구를 충족 시켜주고 체육수업에 대한 내적 동기를 증진시킬 때 학생들이 체육수업과 방과 후 신체활동에 적 극적으로 참여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목차

<< 요약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기술통계
2. 상관분석
3. 조절 회귀분석
Ⅳ. 논의 및 결론
1. 논의
2.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문호준 Moon, Ho-Jun. 서원대학교 체육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