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kind of discourse is represented in 『yongdam-yusa』 and what is the psychological meaning inherent in it. Discourse is divided into two types: conversation and conversation. In the case of dialogue, if the listener is mainly used to express the wishes of the marriage to the female ladies and qualities of the family, the use of various devices other than dialogue is to make the listener to the general public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utilized. It means that the purpose of the waterway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waterway, so the different ways of using the discourse are different and the method chosen accordingly. The psychological meaning revealed in the discourse contains the intention to explore the ideal self image. In the process of religious reflection and training, Suiun considers human beings to internally exercise and what ideal situation should be reached. The pursuit of this idealistic self-image resembles the mental aspect of the human general because it is in line with the universal growth process of human beings in terms of psychoanalysis. The image of the ideal self includes not only the meaning of searching for a model of one ‘s ideal, but also the question of how to set and adjust the part of self which overlaps with others in ideal form. The ideal of this type of self and the others is transformed into the image of the other person, and what kind of ideal the other should have is the search for the humanoid type. The humanoid soul searching and souring is not only a passive idea, but an active subject. It is also the result of the hope of Suwoon that the ideal person would go up to the class of harvesting Donghak and occupy the center of the world. In other words, in the future, Suwoon is projecting the dream that the subjective and practical human image with the ideology of Donghak is the mainstream of society and they want to lead the world in the future.
한국어
본고는『 용담유사』에 나타난 담화 양상이 어떤지를 고찰해 보고 그것에 내재한 심리적 의미는 무엇인가를 밝혀보려는 것이다. 담화 양상에서는 대화를활용한 경우와 대화 이외의 다양한 장치를 활용한 경우로 나누어진다. 대화의 경우는 청자를 주로 집안의 부녀와 자질을 대상으로 하여 수운이 전하고자하는 바를 피력할 때 주로 사용한 것이라면 대화 이외의 다양한 장치를 활용한 것은 청자를 제자와 도를 깨치려는 일반인들로 하여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것은 수운이 담화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이 다르므로 이용하는 담화 양상을 달리하고자 했으며 그에 따라 선택한 방법도 달랐다는 것을의미한다. 담화 양상에 드러난 심리적 의미는 이상적인 자아상에 대한 탐색을 꾀하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 있다. 수운은 종교적인 반성과 수련의 과정에서 인간이 내적으로 수련을 하여 어떤 이상적 상황에 이르러야 하는지를 고민하고 있다. 이런 이상적 자아상에 대한 추구는 정신분석적 측면에서 인간이 밟아나가는 보편적 성장 과정과 맞닿아 있어 인간 일반의 정신적 측면과 닮아있다. 이상적 자아의 모습은 자기의 이상에 대한 모형을 탐색한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그것에서 벗어나 자아가 타인과 겹치는 부분을 이상적인 모습에서 어떻게설정하고 조정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고민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이런 자아와 타자의 이상적 상에 대한 공통점 찾기가 완전하게 타자의 상으로 전환하여 타자가 어떤 이상적 모습을 띠어야 하는지는 인간형에 대한 모색으로 이어진다. 수운이 모색하고 희구한 인간형은 수동적 관념에만 머물러있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 주체적인 측면을 갖고 있다. 그것은 이상적 인물이동학을 추수하는 부류로 올라가서 세상의 중심을 차지하면 좋겠다는 수운의희망이 투영된 결과이기도 하다. 즉 수운은 미래에는 동학을 이념으로 하는주체적이고 실천적인 인간상이 사회의 주류를 이루고 그들이 세상을 이끌어갔으면 하는 꿈을 인물형에 투영하고 있다.
목차
1. 서론
2. 작품에 나타난 담화 양상
1) 대화의 활용
2) 대화 이외의 다른 장치 활용
3. 담화 양상에 내재된 심리적 의미
1) 자아상의 탐색
2) 주체적 실천의 인간형 희구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