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제강점기 충북 영동지역의 민족운동

원문정보

National movement from Yeongdong in Chungbu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박걸순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48호 2018.09 pp.179-22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spect of the national movement that developed in Yeongdong in Chungbu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fter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It was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flow of the movement and its characteristics by organizing the movement of restoring national rights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independence movements by affili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the movement for restoring national rights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appeared to be progressing violently until the latest period, but the enlightenment movement was not so active and its characteristics as the national movement were weak as well. During the March 1st Movement, five independence demonstrations took place in Yeongdong, and many casualties were caused by the Japanese firing in the Haksan-myeon Seosan police substation and Yeongdong-eup. 37(60%) of 62 independence patriots from Yeongdong were involved in the March 1st Movement, which proves that the March 1st Movement was a representative movement in Yeongdong. Immediately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conflict between the bourgeoisie and the proletariat in Yeongdong was exposed. This conflict between the class and ideology was reflected sensitively in the national movement, which is the most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national movement in Yeongdong when compared with the neighboring regions. The Yeongdong youth group, the Yeongdong tenant farming association, Chilwol association, Yeongdong youth union and Yeongdong youth association led this and the ‘Yeongdong Youth case’ (1927) and the ‘Red Yeongdong Farmer Associationcase’ (1932) show the strong suppression of Japan against the ideological movement. This study clarified the reality of the national movement in Yeongdong and confirmed some characteristic aspects. However,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movements leading cla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 affiliations is insignificant.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in the future to study the reason Yeongdong was more active in accepting communist ideologies than other region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 how the nationally noted movement was developed.

한국어

본고는 한말 이래 일제강점기에 충북 영동지역에서 전개된 민족운동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한말의 국권회복운동과 일제강점기의 다양한 독립운동의 전개 양상을 계열별로 정리하여 운동사적 흐름을 파악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는데 주안을 두었다. 한말 국권회복운동으로서 후기의병이 도내에서 가장 늦은 시기까지 격렬히 진행되는 양상을 보이나, 계몽운동은 그리 활발하지도 못하였고 민족운동으로서의 성격도 약했다. 3·1운동 당시 영동에서는 5회의 만세운동이 일어났고, 학산면 서산주재소와 영동읍에서 일본군의 발포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영동 출신 독립유공자 62명 중 37명(60%)이 3·1운동 계열임은 영동지역의 대표적 민족운동이 3·1운동이었음을 입증한다. 3·1운동 직후 영동에서 유산계급과 무산계급의 갈등이 노정되고, 이러한계급과 이념의 대립이 민족운동에 민감하게 반영됨은 인근 지역과 대비되는영동지역 민족운동의 가장 특징적 양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동청년회, 영동소작인상조회, 칠월회, 영동청년연맹, 영동청년동맹 등은 이를 견인한 단체였고, ‘영동청년회사건’(1927)과 ‘적색영동농민조합사건’(1932)은 사상운동에 대한 일제의 극심한 탄압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 연구를 통해 영동지역 민족운동의 실상이 정리되고, 몇 가지 특징적 양상을 밝힐 수 있었다. 그러나 운동 주도 계층의 사회경제적 실태와 운동계열간 연계 파악은 미진하다. 특히 영동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공산주의 사상수용에 적극적이었고 전국적으로 주목되는 운동이 전개될 수 있었던 요인 규명은 향후 주요 과제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한말 국권회복운동
1) 의병항쟁
2) 계몽운동
3. 3·1운동
1) 영동 3·1운동 개황
2) 양산면 갓골 인천 이씨 문중이 주도한 학산면 시위
3) 식민지 경제정책에 반발한 학산면 시위
4) 추풍령 헌병분견소를 불지른 매곡면 시위
5) 기타 시위
4. 청년운동
1) 영동청년회의 조직
2) ‘칠월회(七月會)’ 분립
3) 영동청년연맹 결성과 ‘영동청년회사건’
4) 영동청년동맹의 결성
5. 노농운동
1) 영동소작인상조회의 창립
2) 영동노농동맹회(永同勞農同盟會)로 개칭
3) 영동농민조합의 창립
4) ‘적색영동농민조합사건’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걸순 Gulsun Park. 충북대학교 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