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거경과 심미의 상호작용에 기초한 『주자대전』의 인성함양론

원문정보

The Theory of Personality Development of 『Zhujadaejeon』 based on Co-operative Interaction of Geogyung and Aesthetic Activity

김범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sed on Zhuxi(朱熹)’s scholarship, the true significance of Confucian personality theory lies in its practice. Repeated daily life is always a place for new rejuvenation and repetitive actions every day. If you think that it is also new to write it repeatedly, can not it also be said that personality is comparatively high? Is there something irrelevant to sensual values in every day, repeating every day, all the things that are familiar to the eye, and every single repetitive act? In the sensible reality that can not escape the human nature, it is a study to overcome my personal intolerance through a certain sense. The reality that can not be escaped, the way to escape from it, and the level of escaping, all of which are related to the ‘beautifulness(美)’ of the Zhujadaejeon(朱子大全). In the sensible reality that can not escape the human nature, it is a study to overcome my personal intolerance through a certain sense. Is there something irrelevant to sensual values in every day, repeating every day, all the things that are familiar th the eye, and every single repetitive act? Repeated daily life is always a place for new rejuvenation and repetitive actions every day. If you think that it is also new to write it repeatedly, can not it also be said that personality is comparatively high? The ‘Geogyunggungri(居敬窮理)’ maintains each one of them and plays a role as a cord connecting these three. In this sense, the effort or method of cultivating this personality can be called ‘aesthetic activity based on Geogyung(居敬審美)’. Expressing borrowed from the concept of Ames and Hall, this discussion of cosmological-based ‘aesthetic activity based on Geogyung’ is a metaphysical of aesthetic order. The ‘aesthetic activity based on Geogyung’ is an effort to view the world and human beings in a correlative and organic way. Therefore, aesthetic activity based on Geogyung have the property of aiming to overlap the domain of philosophy, art and morality. It does not, of course, claim that this aesthetic reason or order takes precedence over rational, logical, causal reasoning, or order. It has meaning both at the practical and executive level, and that is fundamental view of this article. The term ‘overlapping’ as used herein refers to all interrelated and complemental view of this article. The term overlapping as used herein refers to all interrelated and complementary process that seek to relate sensual and spiritual, harmony of content and form, and philosophy, art and morality. This means strengthening and exerting human capabilities that interact with each other or with the environment. ‘Beautifulness(美)’ and ‘aesthetic activity based on Geogyung’ in the Zhujadaejeon emphasize the reinforcement and exertion of this capacity. It is a topic that can not be neglected in the theory of personality education because it is claimed to personality education.

한국어

주자의 학문관에 입각해 볼 때, 유교 인격수양론의 진정한 의의는 실천에 있다. 날마다반복되는 삶[日常]도 항상 새로운 함양의 터전이고, 날마다 반복되는 행동 반복적으로 쓰는 것[日用]도 새것처럼 여긴다면, 이것도 인격이 잘 수양된 높은 경지라 할 수 있지 않을까? 날마다 되풀이 되는 것, 눈에 익숙해진 모든 것들, 그리고 반복되는 낱낱의 행동까지, 과연 이들 중에서 감각적 가치와 무관한 것이 있는가? 인성함양은 벗어날 수 없는 이 감각적 현실 속에서, 어떤 감각적인 것을 통해, 나의 사적 편협성을 극복하기 위한 공부라할 수 있다. 벗어날 수 없는 그 현실, 그것에서 벗어나는 방법, 그리고 벗어남에 도달한 차원, 이 세 가지 모두 『주자대전』 속의 ‘美’와 관련이 있다. ‘거경궁리’는 이 하나하나를 존립시켜주며, 또 이 세 가지를 연결시켜주는 끈과 같다. 이런 점에서 이 인성함양의 노력또는 방법을 ‘거경심미(居敬審美)’라 부를 수 있다. 거경에 기초한 심미활동은 미의 인식과 실천에 좋은 영향을 주며, 감각과 의식이 전일해진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진실한 심미활동은 거경의 효과를 진작시켜 준다. 에임스(Roger T. Ames)와 홀(David L. Hall)의 개념을 빌려 표현하면, 거경에 기초한심미활동에 관한 이 논의는 ‘심미적 질서의 형이상학’이고, 거경심미의 실천은 세계와 인간을 상관적·유기체적으로 바라보는 노력이다. 따라서 거경심미는 철학과 예술과 도덕의 영역 중첩화를 지향하는 속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 심미적 사유·질서가이성적·논리적·인과적 사유·질서보다 우선적임을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실천적·실행적 차원에서 의미를 지닌다. 심미활동에 의한 이 ‘중첩’은 감각적인 것과 정신적인 것, 내용과 형식의 조화, 그리고철학과 예술과 도덕의 상관성을 모색하는 일체의 상호 연계적·보완적 과정을 뜻한다 그리고 이것은 상호협력, 또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인성역량의 강화·발휘를 의미한다. 『주자대전』 속의 ‘美’와 ‘심미’는 바로 그 역량의 강화와 발휘, 그리고 인성의 함양과 관련된 개념이다. 그러므로 거경에 기초한 심미활동은 인성교육론에서 소홀히 취급할 수 없는 주제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미, 수양, 인성교육
2. ‘미(美)’의 용법과 의미
3. 심미와 인성함양
4. 거경심미 :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하는 방법
5. 한계와 전망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범수 Kim, Bum-Soo. 서원대학교 윤리교육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