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석천(石泉) 신작(申綽)의 『역차고(易次故)』 연구 - 본체론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Sukcheon Shin Jak’s “Yeokchago(易次故)”

천병돈, 노병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ukcheon Shin Jak's (1760-1828) The depth of discipline on Chinese Classics is so high as compared to Dasan. There are three kinds of works related to Chinese Classics left by Jucheon: "Edit poetry's interpretation in order(詩次故)", "Edit The Book of the Documents's interpretation in order (書次故)", and "Edit The IChing's interpretation in order(易次故)". According to the preface "Edit The IChing's interpretation in order(易 次故)" written by Lee Chung-ik (1744-1816), Sukcheon approached with a very cautious attitude in studying the scriptures. Nevertheless, there are some problems. First, I edited the interpretations related to The IChing's terminology in order, but there is no standard for editing. Second, Sukcheon explains the terms related to the ontology of The IChing's(Qian Tao (乾道), Tao(道), Shen(神), Taiji(太極). Most of the data quoted by Sukcheon at this time are all from Han's dynasty's cosmologic point of view. Such a description is appropriate for constructivism centered around Constructive of Hexagram (卦辭) and Six-line statement (s) (爻辭). However, it does not fit with IChing as Moral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that describes Onto-cosmological of Confucian. Third, Jecheon saw IChing as one of Chinese Classics. So I focused on interpreting letters rather than ideology. Fourth, there are various kinds of documents such as History books, Chinese Classics, IChing related books, and Dictionary. This provides various interpretations for interpreting IChing terms. In conclusion, "Edit IChing's interpretation in order" is valuable as IChing related books in that it provides a lot of information to interpret IChing's terminology

한국어

石泉 申綽(1760-1828)의 經學에 대한 조예는 茶山에 비견될 정도로 높다. 석천이 남긴경학과 관련된 삼대 저서로 『시차고』, 『서차고』, 『역차고』가 있다. 석천은 『주역』을 해석함에 있어서 문자고증, 경서(經書), 제자서(諸子書), 사서(史書) 등 많은 문헌을 인용하여 『주역』을 바르게 이해하고자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역전』의 구절과 관련된 훈고를 ‘편집하여 차례대로[編次]’ 인용했는데, 편차의기준이 없다. 둘째, 『역전』의 본체와 관련된 용어(건도, 도, 신(神), 태극 등)를 풀이할 때, 석천이 인용한 대부분의 자료는 모두 한대(漢代)의 기화우주론 관점에서 쓴 저서다. 이러한 서술은괘사와 효사 중심의 역학에는 적합할 수 있지만, 유가의 본체우주론을 서술한 의리역학으로서의 『역전』과는 맞지 않는다. 셋째, 석천은 『주역』을 경전의 하나로 보았다. 그래서 사상보다는 字句의 훈고에 중점을 두었다. 넷째, 석천이 『역전』의 자구 고증에 인용한 문헌은 사서, 경서, 역학서, 사전류 등 다양한 종류다. 이는 『역전』의 용어를 해석하는데 다양한 해석을 제공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역차고』는 『역전』의 용어를 해석하는데 많은 자료를 제공했다는점에서 역학서로서의 가치가 있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건도(乾道)의 본체론적 의미
3. 도(道)와 성명(性命)
4. 신도(神道)와 역도(易道)
5. 형이상(形而上)의 태극(太極)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천병돈 Chun, Byung-Don. 대진대학교 국제학부 부교수
  • 노병렬 Roh, Byung-Ryul. 대진대학교 국제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