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하곡 정제두의 체용관 연구

원문정보

An interpretation of Ti-yong in Study of Hagok Jeong, Je-Du

박현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tructure of tiyong(體用,substance and function) in the thought of the Korean Yangming scholar Jeong, Je-Du. This paper aims to examine Jeong, Je-Du’s view in relation to the following two aspects: First, his ideological structure is based on Wang, Shou-Ren's original view, jiti jiyong jiyong jiti(卽體 卽用, 卽用卽體). Second, Jeong, Je-Du’s view emphasizes ti(體, substance) for yong(用, funct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se two features originated in his unique understanding of tiyong. This paper understands this possibility as “the dual structure of tiyong”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it in relation to Jeong, Je-Du’s shengli shuo(生理說). According to him, when Liangzhi(良知: innate Knowledge of the Good) has emerge, it also can be interrupted by desires. In conclusion, Jeong, Je-Du's interpretation of tiyong diverged from one of Wang, Shou-Ren's original views, jiti jiyong jiyong jiti(卽體卽用, 卽用卽體), and, for this reason, he was severely criticized. Even so, in fact Jeong, Je-Du's view expressed the strong desire for ti is based on jiti jiyong jiyong jiti. Therefore, his view should be treated importantly in that it predicted one of the serious problems facing the later scholars in the Yangming schools of thought, namely the misunderstanding of Wang, Shou-Ren’s ideological structure.

한국어

본 논문은 한국 양명학자 하곡 정제두의 체용관에 대한 직접적 고찰과 더불어 그의 사상적 구조에 대해 체용론의 시각으로 해석한 것이다. 본문은 정제두 사상의 특징을 체용론적 관점에서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정제두의 체용관은 왕수인의 기본적 사고의 틀이라고 할 수 있는 즉체즉용, 즉용즉체(卽體卽用, 卽用卽體)를 기반으로한다. 둘째, 하곡의 사상적 구조는 즉체즉용의 바탕 위에 다시금 본체를 중심으로 하는 경향을 띤다. 이는 작용에 대한 본체의 우선성과 질적 차별성을 전제하는 것으로, 본체 중심의 체용 이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곡은 즉체즉용, 즉용즉체를 말하면서도 다시본체를 중심으로 하는 체용관을 전개하였다. 본문은 이러한 하곡 체용관의 특징을 하곡체용관이 가진 이중구조로 명명한다. 본문은 하곡이 양지의 발현 가운데 여전히 사사로운 감정과 욕구에 간섭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양명의 체용관에서 이를 기반으로 하여 다시금 본체를 중심으로 하는 체용관으로 발전시켰다고 주장한다. 또한 정제두 체용관의 이러한 경향성은 양지가 생생하게 발현되는 현장에서도 여전히 그것이 진리인지 확인하는 공부 방법의 필요성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 그가 보기에 본체가 발현되는 과정 중에서도 사욕에 방해 받지 않는 공부 방법이 필요했고, 그 의도는 근본적으로체용에 대한 이해에 기반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정제두는 주자학적 이론체계를 가지고 양명학을 이해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양명학의 종지를 잘못 이해하였다는 비판에 대한 반론으로 기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체용론적 분석을 통해 하곡의사상적 특징을 분석하고 여타 양명학파와 구별되는 정제두 체용관이 가지는 공부론 상에서의 차별성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와 의의를 지닌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머리말
2. 본체와 작용의 연속적 관계(卽體卽用, 卽用卽體)
3. 작용에 대한 본체의 차별성 : 生理와 眞理
4. 맺음말 : 하곡 체용관의 이중구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현정 Park, Hyun-Jung.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