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조실록ㆍ경연 』의 현안 속에 보이는 왕도정치구현 양상 - 『맹자』 강(講)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alization Patterns of Royal Politics in the Pending Issues of 『InjosilrokㆍGyeongyeon』 - With a focus on the Kang of 『Mencius』 -

박연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aising questions about the overwhelming number of records about the Kang of Mencius in the Gyeongyeons of King Injo, this study made a start by assuming that he liked Mencius and examined the big number of Gisas in the Kang of Mencius and his efforts to practice royal politics. King Injo ascended the throne through restoration. King Injo recorded a bigger number of Kang about Mencius than other kings, and the officers that recorded Injosilrok put greater focus on reasonable arguments than the phrases of Kangdok and content of Kanghak. Although the duration of King Injo's Kangdok of Mencius was long, he failed to implement Mencius' ideas in his political affairs, which indicates that he used Gyeongyeons to maintain his royal authority. At the same time, he lacked insight and determination about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country in his reasonable arguments. It was because he had to read the faces of his subjects as a king that seized power through restoration and was not active to deal with international circumstances and rebellions, being caught in his own war of causes. If he had learned Mencius and found answers by asking about the laws of his predecessors and trying to follow them, he would have been able to practice royal politics by providing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 inside and working on diplomacy and governance outside. Some of his political acts including the partial implementation of Daedongbeop and decision not to kill "Gwanghae" are certain examples of his compassion.

한국어

본고에서는 인조조의 경연에서 『맹자』 강(講)에 대한 기록이 월등히 많았던 점에 의문을 품고, 인조가 맹자를 좋아했다는 가정(假定)에서 출발하여 『맹자』 강의 기사 수가 많은점과, 인조가 왕도정치 구현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했는지 살펴보았다. 인조는 反正하여왕좌에 올랐다. 인조조의 시기는 안팎으로 외교적인 문제와 전란(戰亂)으로 어느 때보다혼란했다. 『인조실록』 의 기록양상은 그러한 시기적 요소와 무관하지 않았다. 『인조실록』 을 기록한 사관은 강독한 어구나 강학내용을 기록하기보다는 정론(政論)에 치중하였다. 인조 또한 『맹자』 를 오래도록 강독하였으나 맹자사상을 정사(政事)에 실행하지 못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볼 때 인조는 왕권유지를 위해 경연을 이용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정론을 통해 시국에 대한 통찰과 결단력이 부족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모습은 반정한 왕으로서 신하들의 눈치를 봐야했던 것과 인조 스스로의 명분싸움으로 국제정세와 내란에 적극적이지 못했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인조가 맹자를 배워 선왕들의 법을 묻고선왕의 법대로 행하기를 힘써 해법을 얻었다면 안으로 安民에 치중하고 밖으로 외교와치국(治國)에 힘써 왕도정치를 구현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인조가 보여준 대동법의 일부시행은 분명 인정(仁政)을 행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경연의 의미와 『인조실록』의 특징
1) 내성외왕(內聖外王)의 장
2) 『인조실록·경연』에서 『맹자』강(講)의 특징
3. 『인조실록』『맹자』강(講) 정론에 보이는 왕도정치사상
1) 인조의 역사인식과 현실인식
2) 왕도정치 구현(具現)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연우 Park, Yeon-Woo. 공주대학교 한문교육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