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日本語學/日本語敎育

宮内庁書陵部蔵 『春秋経伝集解』 鎌倉中期点의 反切下字 考察 - 遇摂・流摂을 中心으로 -

원문정보

Contemplation on Fanqie Bottom Words in the Middle of Kunaichoshoryobuzo"Chun qiu jing zhuan ji jie" Kamakura : Focusing on the group of Yu(遇)ㆍLiu(流)

궁내청서릉부장 『춘추경전집해』 겸창중기점의 반절하자 고찰 - 우섭・유섭을 중심으로 -

申智娟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the Fanqie Bottom Words specified in the “Bun-ei-ten” marked by the doctors in the Kiyoharas. The group of Yu・Liu in the Ancient Chinese 16 groups was compared with the Fanqie in the “Sou-han-p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Examining Fanqie Bottom Words of the group of Yu and Liu, except for regional reflections, phonetic connection is ongoing in the entire group of Yu and Liu, and it is an acceptable phonetic connection of chokuon and yod. 2) In mo rhyme and hou rhyme, because identical rhyme letters are used as Fanqie Bottom Words, in the group of Yu division 1 and the group of Liu division 1, phonetic connection with different rhyme has not yet taken place. 3) In hou rhyme m, mo rhyme letters were never used as Fanqie Bottom Words and in you rhyme m, only hou rhyme letters were used. According to this, it can be concluded that at least until the time of lat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mo rhyme change of hou rhyme m either did not occur or rarely happened. 4) In division 3, medial-i and medial-ï were heavily used as Fanqie Bottom Words. This phenomenon should be understood as a character of division 3. Because of the initial characters carried by yu rhyme, phonetic connections among letters are highly likely to have existed, and phonological distinction is presumed to have been difficult since the earliest times.

한국어

본고에서는 清原家 博士들이 加点한 漢籍訓讀자료인 宮内庁書陵部蔵『春秋経伝 集解』鎌倉中期点에 기재된 反切下字를 분석하였다. 中古漢語 16攝 중 遇攝・流攝만 을 대상으로 하여 宋刻宋元遞修本『經典釋文』과 비교・분석하였고, 나아가 두 反切 의 불일치 원인에 대해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1) 遇攝・流攝의 反切下字를 살펴본 결과, 지역적 반영 등을 제외하면 遇攝・流攝 내 전체에서 混用이 일어나고 있으며, 直拗의 混用도 인정된다. 2) 模韻과 侯韻에서는 대부분 本韻字를 反切下字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遇攝 1等과 流攝 1等에서는 아직 他韻과의 混用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3) 侯韻明母에서는 反切下字로 模韻字가 전혀 사용되지 않았고, 尤韻明母에서는 侯韻字만을 사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적어도 南北朝期까지는 侯韻明母字의 模韻化 가 일어나지 않았거나 혹은 그다지 활발하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더욱 이 尤韻明母와 비교해보면 侯韻보다 尤韻明母의 音韻變化가 보다 빨리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4) 3等에서는 反切下字로 甲類와 乙類가 모두 多用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3等 자 체의 특성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魚韻 등이 가지고 있는 聲母의 특성으로 인해 字音이 서로 混用되었을 가능성이 크고, 매우 이른 시기부터 音韻論的 구별이 어려 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목차

<요지>
1. 머리말
2. 遇攝과 流攝의 反切樣相
3. 遇攝
3.1. 1等 模韻
3.2. 3等 魚韻乙類
3.3. 3等 魚韻甲類
3.4. 3等 虞韻乙類
3.5. 3等 虞韻甲類
4. 流攝
4.1. 1等 侯韻
4.2. 3等 尤韻乙類
4.3. 3等 尤韻甲類
4.4. 3等 幽韻
5. 맺음말
참고문헌(Reference)

저자정보

  • 申智娟 신지연. 동국대학교 일본학과 시간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