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술 콘텐츠 분야

문화예술경영과 지역문화진흥의 효과 연구 - 지역축제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 of Cultural Arts Management and Local Culture Promotion – Focusing on Local Festivals -

조광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culture and arts management centering on local festivals and to examine the direction of progress.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problem of management in the overall aspect of the key factors of the festival. In other words, the issue of management that govern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festival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leading to success and failure. Second, the problem of conflict with the festivals and organizations of local governments is revealed. The causes of conflicts through festivals vary, but the cooperative nature of each other is inferior, and the actual effects are not revealed due to the behavior that focuses on individual achievement rather than on performance. Third, it is the influence of local festival officials. The structure in which a small number of influential stake holders determine everything does not motivate the citizens to participate together, they focus on expanding the influence of the individual, so they can not sublimate into a festive event, It is a festival. Fourth, the fact that many local festivals that are taking place are not easily reduced in spite of the low performances, probably because they are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local governor. However, it may be more effective to focus on reducing the number of festivals to 2-3. Fifth, it is necessary to combine elements of tradition and creation. Sixth, the object to enjoy the festival should be selected clearly. Seventh, a cooperativ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such as regular meetings of the festival-related departments of the municipalities, the festival operating agencies and organizations, and the main operation-related personnel of the festival. Eighth, provision of information and formation of a volunteer group is also required so that the public relations system that can be promoted nationwide can be operated at all times.

한국어

이 연구는 문화예술경영이 지역축제를 중심으로 그 성과를 살펴보고, 나아갈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 성패의 핵심요인은 총체적인 측면에서는 경영의 문제가 있다. 즉, 축제의 시작부터 끝까지를 관장 하는 경영의 문제는 성공과 실패를 가져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이다. 둘째, 지자체의 축제운영 기관 및 단체와의 갈등 문제가 드러난다. 축제를 통한 갈등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서로 간의 협력성이 떨 어지고, 운영의 성과보다는 개인적 성과에 치중하는 행태로 인해 실질적인 효과가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셋째, 지역축제 관계자들의 영향력이다. 소수의 영향력 있는 관계자들이 모든 것을 결정하는 구 조는 시민들이 함께 참여하는 동기를 유발하지 못하고, 개인의 영향력 확대에 치중하게 되므로 모두가 화합하는 축제로 승화시키지 못하고, 일부는 소외되고, 냉소하는 형식적인 축제로 이루어지게 된다는 점 이다. 넷째,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수많은 지역축제가 그 낮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쉽게 줄어들지 않는 이유는 아마도 지자체장의 치적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축제를 2-3개로 줄여서 집 중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다섯째, 전통과 창작의 요소를 접목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여섯째, 축 제를 즐기는 대상을 명확하게 선정하여야 한다. 일곱째, 지자체의 축제주관부서와 축제운영기관 및 단체, 축제의 주된 운영관련담당자의 정기모임 등 협력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여덟째, 전국으로 홍보할 수 있는 홍보시스템의 구축이 상시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정보의 제공과 자원봉사자 단체의 구성도 요구 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Ⅱ. 문화예술경영
2.1. 문화예술경영
2.2. 문화예술경영의 방향
Ⅲ. 지역축제
3.1. 지역문화
3.2. 지역축제의 개념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광주 Jo, Kwang-Joo. 서원대학교 평생교육대학 생활경영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