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술계열 대학생들의 NCS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산업체와 학생의 인식차이 연구 : 실용음악학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Study on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the Industry and Art-related University Students on NCS Professional Basic Ability - Focused on the Department of Practical Music

이현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difference on the ten areas of NCS professional basic ability between art-related university students and art-related industry and to provide the implications of university education to improve the employment competency of the art-related university students, by analyzing and comparing importance perception of art-related university students on the ten areas of NCS professional basic ability, and importance–performance perception of art-related industry. The conclusion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areas that have shown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ortance percep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and industry on the ten areas of professional basic ability were Technical Ability, Mathematical Ability, and Organization Understanding Ability in order.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is needful for the university students to perceive the importance more in the areas of Technical Ability, Mathematical Ability, and Organization Understanding Ability when they prepare ten professional basic abilities to reinforce their employment competency, and that the universities should have this in mind when they operate and proceed educational programs for professional basic ability to improve the employment competency of the art-related university students. Secondly, as a result of IPA, it was shown that B area (which has high importance and high performance in self-development ability, Interpersonal skills, technical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needs to keep up the good work. It was revealed that A area(Concentrate here) has high importance with communication skills and organization understanding, but low performance, meaning it needs to be improved. It was revealed that C area(Low Priority) has both low importance and low performance in information ability, resource management ability, and mathematical ability. Finally, it was revealed that D area(Possible Overkill) has low importance in vocational ethics ability but relatively high performanc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NCS 직업기초능력 10개 영역에 대한 예술계열 대학생들의 중요도 인식 과 예술계열 산업체의 중요도-실행도 인식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예술계열 대학생들과 예술 계열 산업체의 10개 영역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 예술계열 대학생들의 취업능력 향상을 위한 대학교육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은 다 음과 같다. 첫째, 직업기초능력 10개 영역에 대한 대학생과 산업체의 중요도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영역은 기술능력, 수리능력, 조직이해능력 순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예술계열 대학생들이 취업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직업기초능력 10가지를 갖추어야 할 때 기술능력, 수 리능력, 조직이해능력 영역에 있어서 중요성을 좀 더 인식할 필요성이 있으며, 대학은 예술계 열 학생들의 취업능력 향상을 위한 직업기초능력 교육프로그램 운영 시 이를 염두에 두어 진 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IPA의 결과, 유지영역의 자기개발능력, 대인관계능력, 기술능력, 문 제해결능력은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높은 영역으로 지속적으로 유지가 되어야 할 필요가 있 고, 집중영역의 의사소통능력, 조직이해능력은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은 속성으로 개선 이 필요한 능력임을 의미하고 있다. 저 순위 영역의 정보능력, 자원관리능력, 수리능력은 중요 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은 역량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과잉영역의 직업윤리능력은 중요 도가 낮으나 실행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파악되었다.

목차

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예술계열 대학생들의 취업률 동향
2.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직업기초능력 개념 및 구성
3.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도구 및 분석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1. 산업체와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10개 영역 중요도 인식 차이
2. 산업체의 직업기초능력 10개 영역의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3. 예술계열 실용음악학과 직업기초능력 10개 영역 IPA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현욱 Hyun-Wook, Lee. 평택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