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실무에 근거한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이미지 척도 개발

원문정보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mage Scale Development Based On The Practical Field Experience

김현경, 이혜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to develope a mental health social welfare workers’ image scal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relating to field orientation of practice and education in mental health social work. The data collected from August 2017 to December 2017 wit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240 social workers in mental health field in Chungcheung and Jealla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0.0 for description of statistic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also executed with AMOS program for verify model fit.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total 25 questions and 3 factors, which were task-oriented image, intrinsic value image, expanded relationship image. And this research proposed that the criteria of occupation identity for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from the measurement instrumen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mage. Also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this measurement instrument could be used for developing predicted factors and the various programs relating to the professional and positive imag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한국어

본 연구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이미지 검증 척도를 개발하여 향후 예비 정신건강사회복지 사의 진로 및 실무 교육 등에 기여하게 될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8월부터 2017년 12월까지였으며, 표집방법은 임의표집 방식을 적용하였다. 자료조 사 지역은 충청남북도와 전라남북도 소재 정신병원과 정신건강증진센터, 사회복귀시설 등 정 신건강실천현장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240명을 대상으로 실행하였다. 이중 성실하게 응답한 229개의 설문자료만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통해 기술적 통계분석과 탐색 적 요인분석을 실행하였다. 또한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모형 적합도를 검증하는 확인 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총 25문항으로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이미지 3가지 요 인 즉, ‘과업 중심 이미지’, ‘내재된 가치 이미지’, ‘확장된 관계 이미지’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 를 통해 개발된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이미지 측정도구를 통해 전문가로서의 정신건강사회복지 사의 직업 정체성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일부 제한성을 극복한다면 정신건강사회 복지사라는 직업에서 요구되는 실무기반 방향성 및 역할 인식을 위한 도구로 활용 가능하다 는 점을 강조하였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이미지의 개념
2. 사회복지사 이미지에 대한 국내외 문헌고찰 및 척도 검토
Ⅲ. 연구절차 및 연구방법
1. 연구 절차
2.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측정도구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3.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현경 Hyun-Kyoung, Kim. 호원대학교
  • 이혜경 Hye-Kyung, Lee. 건양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