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 자료를 활용한 근로자의 직업기초능력으로서 요구되는 문해, 수리 및 문제해결 능력 수준 설정

원문정보

The Level of Literacy, Numeracy and Problem Solving Skills Required as an Key Competencies of an Employer Based on the International Adult Competence Survey (PIAAC) Data

나승일, 김영흥, 오춘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level of literacy, numeracy, and problem solving skill levels required in occupations as basic occupational skills for Korean workers, based on data obtained from Programmed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PIAAC). For this study, 4,428 Korean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national Adult Competence Survey (PIAAC) were selec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literacy and numeracy skill did not differ according to sex, but the higher the level of final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the higher the level of skills. In addition, the skill levels of professionals was higher than that of semi-professional workers and simple laborers. On the other hand, the lower the age, the number of years of service and the total career, the higher the skill level. Meanwhile the level of problem solving generally does not differ according to the variables. Second, using both objective measurement and subjective measurement methods is more appropriate to measure the difference of skill level among the skill mismatch groups, rather than using only subjective measurement method. Thir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skill of literacy, numeracy and problem solving by job type. The implication for this study is that, first, the appropriate level of literacy, numeracy and problem-solving skills of workers presented in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a reference point in setting educational goals, recruiting and promotion. Second, the approach to determine skill mismatch as well as the level of skills presented in this research can be used in other further research. Third, a continuous and comprehensive follow-up studies on the level of basic occupational skills presented in this study as well as its utilization is necessary.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근로자의 직업기초능력으로서 요구되는 문해, 수리 및 문제해결 능력의 적정 수준을 설정하는데 있었다. 분석대상은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에 참여한 우리나라 근로자 4,428명이다. 주요 결과는 첫째, 우리나라 근로자의 문해 및 수리 능력은 2수준, 문제해결 스킬 은 1수준으로 OECD 국가의 평균과 대체로 유사한 수준이다. 대체로 문해 및 수리 스킬 수준은 성별에 따른 차 이는 없으나, 최종 학력, 월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수준이 높았다. 또한 전문직 종사자가 준전문직과 단순노무직에 비해 스킬 수준이 높았다. 한편, 연령대, 근속년수와 총 경력은 낮을수록 스킬 수준은 높았다. 문제해결 스킬 수 준은 대체로 변인에 따른 차이가 없다. 둘째, 스킬 미스매치 집단별 스킬 수준의 차이는 주관적 측정 방법만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객관적 측정과 주관적 측정 방법을 혼용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 자기보고식 문항의 응답 값만 을 활용하여 스킬 미스매치 집단을 분류한 결과보다 자기보고식 문항 응답 값과 실제 획득한 스킬 점수를 함께 활용한 분류 결과가 더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직종별로 문해, 수리 및 문제해결 스킬 수준의 차이가 있 다. 군인, 관리자, 전문가 및 기술 관련 종사자의 문해 및 수리 스킬 수준은 대체로 OECD 평균에 비해 약간 높 은 편이며, 사무지원, 판매, 농림어업숙련, 기능원, 조작원, 기계공 및 조립공 관련 종사자는 대체로 비슷한 편이 다. 문제해결 스킬 수준은 군인, 관리자, 전문가, 기술 및 사무 지원 관련 종사자는 OECD 평균와 대체로 비슷한 편이며, 판매, 농림어업숙련, 기능원, 조작원, 기계공, 조립공 및 단순 업무 관련 종사자는 대체로 낮은 편이다. 제언은 첫째, 연구 결과로 제시된 근로자의 직업기초능력으로서 요구되는 문해능력, 수리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의 적정 수준은 교육목표 설정, 채용 및 승진 평가에서 기준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연구에서 활용한 스킬미스매치 판단 및 적정 수준의 설정을 위한 접근법은 후속적인 연구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설 정된 직업기초능력의 적정 수준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구체적인 활용 방안에 대한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직업 변화와 교육 및 숙련기간
2. 직업기초능력 영역과 수준
3. 스킬 미스매치와 측정
4.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 대상 및 스킬영역
Ⅲ. 연구 방법
1. 연구 절차
2. 분석 자료
3. 자료 분석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 근로자의 문해, 수리 및 문제해결 스킬 점수 및 차이
2. 근로자와 PIAAC에 의한 스킬 미스매치 집단별(과잉, 적정, 부족) 스킬 수준 비교
3. 직업기초능력으로서 직종별 문해, 수리 및 문제해결 스킬 수준 설정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저자정보

  • 나승일 Seung-Il, Na. 서울대학교/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김영흥 Young-Heung, Kim. 서울대학교
  • 오춘식 Chun-Sik, Oh. 서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