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Bollnow’s Thought on the Concept of ‘Logos’ in the Transformation of Formal Logic
초록
영어
This study researches the logos discussed in ancient Greek natural philosophy from the hermeneutical aspect of Bollnow. This philosophy discussed what role Logos played in the thought of Heraclitus of Ephesus in the continuing movement of nature and in the flow of change. This comprehensive discussion set up by Heraclitus was partially limited in the logical philosophy of lonian Aristotle. Bollnow analyzed whether this relationship is possible to be “true” or “false” in terms of philosophy of life and hermeneutics from pre-understanding (Vorverständnis) and pre-determinism. Bollnow argued that the concepts and the notable definitions described so far were only in the closed understanding of reality by ancient logical Ontology. In these meanings he pointed out that the consciousness of the functional difference between the thought content and the truth one is lost in the scientific point of view which is interested in evidence exclusively. He argued that the religious science and education should be confronted with the understanding of unfamiliar theories about individual science and philosophy and prepared in other academic language forms and interpretations in the world.
한국어
본 연구는 고대 그리스 자연철학에서 논의된 로고스를 볼르노의 해석학적인 측면 에서 연구하였다. 이러한 철학은 에페소스, 헤라클레이토스의 사유 속에서 로고스가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는지를 자연의 계속적인 움직임 속에서 그리고 변화의 흐 름 속에서 논의하였다. 헤라클레이토스에 의해서 설정된 이러한 포괄적인 논의가 이오 니아의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철학에서는 부분적으로 제한되어졌다. 볼르노는 이러한 관계성을 삶의 철학과 해석학적인 측면에서 “참”과 “허위”일 수 있는 가능성을 선이해 와 선결정론에서 분석하였다. 볼르노는 지금까지 서술된 개념과 명증적인 정의들을 고 대 논리 존재론에 폐쇄적인 현실 이해 내에서만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의미들 에서 사고 내용과 진실 내용 간에 기능적인 차이에 대한 의식을 배타적으로 명증성에 관심을 두는 과학관에서는 상실된다고 지적하였다. 현대사회의 개별과학과 철학에 대 하여 낯선 이론에 대한 이해와 그리고 다른 학문적인 언어 형태들과 세계 내 해석들 에 종교 과학과 교육은 대면하고 준비성을 가져야한다고 주장하였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볼르노의 학문적 배경
III. 그리스 철학에서 ‘로고스’의 형식논리학적 전환
1. 헤라클릿트적 로고스 개념
2. 아리스토텔레스의 진술에의 로고스의 의미와 제한성
I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