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o reinforce and normalize school history education, a plan to make Korean History a compulsory subject on the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as proposed in August 2013. In 2017 university admission system, Korean history was designated as a compulsory subject on the CSAT in October 24. According to this polic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has begun related research. As a result, Korean History on the CSAT became a test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basic knowledge on korean history and historical thinking ability of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Easy assessment and absolute evaluation system were particularly prepared for the prevention of private education and normalized school history education. Since then, Korean History was tested as a compulsory subject on CSAT in 2017 and 2018. However, it is required for us to check whether the objective and direction of Korean History on the CSAT is in line with the original intent and whether easy Korean History and absolute evaluation system are valid. First of all, the process of making Korean History a compulsory subject on the CSAT itself was not handled with caution. The following is analysis results of the Korean History on the CSAT in 2017 and 2018. First, political history was still the main content of CSAT. Second, the types of test items were not evenly distributed in behavior objectivity. Third, although it was expected that the interest in Korean History would increase due to the easy questions and the absolute evaluation system, the number of rank 1 decreased by half and rank 2 and 3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ase of two CSAT. This means that level of difficulty greatly affects students. These issues need to be adjusted by the notification of 2015 revision of Korean History curriculum. First, it is important to find a way to use high school Korean history, which is only one unit in content area, as test questions. In behavior objectivity, there is also a problem of reflecting the five subject competencies stemmed from the core competence of general dimension. First of all, easy evaluation does not solve everything. Although students' dependence on EBS textbooks is increasing, students do no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chool Korean History classes. Moreover, students only aim to reach rank 3 because of absolute evaluation system. Considering this, it is rather good to make Korean History an elective subject on CSAT for the normalization of school history education. Along with reflecting the 2015 revision of the Korean history education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plan for the revision of Korean History test questions.
한국어
역사교육 강화 및 학교 역사교육 정상화를 위해 2013년 8월, 역사교육 강화방안 시안에서 한국사 수능 필수과목화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어 10월 24일, 2017학년도 대입제도 확정안을 통해 한국사는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되었다. 교육부 방침에 따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14년도 상반기에 출제 경향 및 예시문항 등을 개발하여 학교에 안내할 수 있도록 연구 작업에 돌입하였다. 그 결과 수능 필수 한국사는 ‘고등학교 졸업자로서 갖추어야 할 한국사 기본 지식의 이해 정도와 역사적 사고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시험이며 핵심적이고 중요한 내용 중심으로 쉽게 출제한다는 것이 기본적인 방향으로 되었다. 특히 사교육 방지 및 정상적인 학교 역사 수업을 위해 설정한 9등급의 절대평가 체계 역시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이후 2017·2018학년도에 걸쳐 두 번의 수능 필수 한국사 시험이 치러졌다. 그러나 현재 수능 필수 한국사의 평가 목표 및 방향이 의도대로 운영되고 있는가, 또한 쉬운 한국사와 절대평가 체제는 유효한가를 살펴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우선 수능 한국사의 필수화 과정 자체가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두고 추진된 것은 아니었다. 게다가 두 번에 걸친 수능 필수 한국사 평가를 분석한 결과 첫째, 내용 영역 면에서 여전히 정치사가 중심이 되고 있다. 둘째, 행동 영역 면에서는 여섯 가지 영역에 해당하는 문항의 유형이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였다. 셋째, 쉬운 문항과 절대 평가 체제로 인해 한국사 학습에 대한 흥미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두 번의 수능만 보면 1등급의 비율은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고, 2, 3등급의 비율도 상당히 감소하였다. 수능 한국사를 보는 전체 인원은 거의 유사한데도 등급 비율이 감소하는 것은 학생들이 난이도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난이도가 일관되지 못하면 절대평가 체제에서는 등급 비율 역시 불안정할 수밖에 없다. 이상과 같은 사안들은 2015 개정 한국사 교육과정의 고시로 더욱 조정이 필요해졌다. 우선 내용 영역에서 한 단원에 불과한 고등학교 한국사 내용의 출제 방안 모색이다. 행동 영역에서도 총론 차원의 핵심 역량에서 비롯된 다섯 가지 교과 역량의 반영 문제가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쉬운 수능만이 능사는 아니라는 점이다. EBS 교재에 대한 학생들의 의존도는 높아지는 반면 한국사 수업에 대한 실질적인 중요성은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더욱이 절대 평가 체제로 인해 학생들은 3등급만을 기준으로 삼고 학습 자체에는 큰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현재까지의 수능 필수 한국사에 대한 이러한 사정을 본다면 수능 한국사를 필수 과목에서 제외하는 것이 역사교육 정상화를 위한 방안일 것으로도 생각된다. 2015 개정 한국사 교육과정을 반영하되 현실적으로 역사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개선된 수능 필수 한국사의 출제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목차
Ⅱ. 수능 한국사 필수화 과정
Ⅲ. 수능 한국사 필수 시행의 양상 및 개선안
1. 한국사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 체계와의 관련성
2. ‘쉬운’ 수능과 절대평가 체제의 유효성
Ⅳ. 결어
<국문초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