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3∙1정신과 21세기 한국교회 회중찬송곡

원문정보

The Spirit of the March First Movement and the Congregational Song of the Twenty-First Century Korean Church

이상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rch First Movement is the root and the starting point of Korea today, and it is the first event that an oppressed country caused a nationwide independence movement after World War 1. It is also important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It is meaningful to reflect on the spirit of the March First Movement when this important movement celebrates its 100th anniversary and to consider how it can be applied to the congregational songs of the Korean Church. I first looked at three spirits of the March First Movement related to the congregational songs: Patriotic Faith and Participation in History, Solidarity, and Originality and Cultural Development. From the early days of mission, Korean Christians had a strong spirit of patriotism and historical participation, and because they were motivated by faith, Christians participated more actively and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March First Movement than any religious or group. And the March First movement is a symbol and realization of solidarity and unity that is unprecedented in our history. It is a movement that has occurred in conjunction with the people who have come beyond the differences between religion, generation, gender, occupation and region. In addition,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contains the claim that we should demonstrate our outstanding originality and contribute to the world by developing a national culture. I also discussed how to apply these three spirits of the March First Movement to the congregational songs. In the early days of the mission, Korean churches made various national anthems. And during the March First Movement, hymns were also sung as songs of independence movement. Since then, however, very few patriotic or social hymns have been made. From now on, Korean churches should make and sing more songs that encourage patriotic faith and public faith. And as our ancestors demonstrated during the March First Movement, we must strengthen the spirit of unity in today's worship and congregational singing. Especially for the unity between generations, we have to use various types of songs discreetly and choose universal songs that anyone can sing and sympathize with.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original and Korean congregational songs. There should be many hymns and contemporary worship songs that are Korean and universal and can be widely sung in local churches.

한국어

3∙1운동은 오늘날 대한민국을 있게 한 뿌리이고 출발점이다. 그리고 3∙1운동은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에 피압박 약소국이 거족적으로 독립운동을 일으킨 최초의 사건이다. 3∙1운동은 한국교회의 역사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렇게 중요한 3∙1운동이 100주년을 맞이하는 시점에 3∙1운동의 정신을 되새기고, 그것을 어떻게 한국교회 회중찬송곡에 적용할 수 있을지 고찰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자는 우선 회중찬송곡과 관련 있는 3∙1정신 세 가지를 살펴보았다: 애국신앙과 역사참여, 연대와 동참, 그리고 독창성과 문화 개발. 선교 초기부터 한국 기독교인들이 강한 애국심과 역사참여의 정신을 갖고 있었고, 여기에 신앙의 동기가 더해졌기 때문에, 기독교인들은 어느 종교인이나 집단보다 더 적극적으로 3∙1운동에 참여했고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리고 3∙1운동은 우리 역사에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연대와 단결의 상징이고 실현이다. 종교와 세대와 성별과 직업과 지역의 차이를 넘어서서 온 겨레가 연합하여 일어난 운동이다. 또한 3∙1독립선언서에는 우리의 뛰어난 독창성을 발휘해 민족문화를 개발하여 세계에 기여하자는 주장이 담겨 있다. 본 연구자는 이 세 가지 3∙1정신을 어떻게 회중찬송곡에 적용해야 할지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선교 초기에는 한국교회가 교회마다 지역마다 다양한 애국가를 직접 만들어 불렀다. 그리고 3∙1운동 당시 찬송가는 독립가의 역할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 후 오늘까지 애국적이거나 사회참여적인 가사의 찬송가가 거의 만들어지지 않았다. 앞으로 한국교회는 애국신앙과 공적신앙을 북돋는 노래를 더 많이 만들고 불러야 한다. 그리고 3∙1운동 당시 선조들이 보여준 것처럼, 오늘날의 예배와 회중찬송에서도 연합의 정신을 강화시켜 나가야 한다. 특히 세대 간의 연합을 위해, 다양한 유형의 노래를 분별력 있게 사용해야 하고, 누구나 부를 수 있고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곡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독창적이고 한국적인 회중찬송곡을 발전시켜야 한다. 한국적이면서도 보편적이어서 지역교회에서 즐겨 부를 수 있는 찬송가와 현대 예배곡이 많이 나와야 한다.

목차

논문초록
I. 들어가는 말
II. 3·1정신
III. 3·1정신과 한국교회 회중찬송곡
I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상일 Sang Il Lee. 장로회신학대학교 부교수(교회음악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