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尙州牧 刊行의 高麗版 『禮記集說』에 관한 硏究

원문정보

A Study on the Yegijipseol Published by Sangjumok in Goryeo Dynasty

상주목 간행의 고려판 『예기집설』에 관한 연구

朴文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on the Yegijipseol published by Sangjumok in Goryeo Dynast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Yegijipseol (禮記集說) is a book of commentaries on the Yegi (禮記). Written by Jin Ho in 1322, the book was first published by the House of Jeong Myeong Deok in 1328. This edition found its way into Goryeo, where it was re-engraved onto printing blocks in 1391 in Sangju-mok, Gyeongsang-do. (2) The Goryeo edition of the Yegijipseol was mentioned by multiple commentators including Lee Sung In, Park Ik, Lee In Yeong, and others. Among these names, Park Ik is a mistake for An Ik, who was confused with Park Ik. (3) Upon taking office as Governor of Gyeongsang-do (Gyeongsang-do Gwanchalsa), An Ik ordered the City of Sangju to create an engraved edition of the Yegijipseol, which took only five months to complete. A comparison between the Jeong Myeong Deok edition and the Goryeo edition clearly shows that the latter was re-engraved using the former as its original. (4) Two figures were directly involved in the publication of the Goyreo version of the Yegijipseol: An Ik, who was the Governor of Gyeongsang-do, and Lee Bok Si, who was the Magistrate of Sangju-mok (Sangjumoksa). An Ik oversaw the overall project, while Lee Bok Si led the actual publication efforts. (5) The Goryeo edition of the Yegijipseol held by the Goheung Museum has seal impressions that read “Donghodangjang (collection of Donghodang)” on the front and back. These impressions tell us that the book once belonged to a collection held in a place called Donghodang. The name suggests a connection to “Donghodokseodang”. (6) Books of commentaries on the Yegi written by Korean scholars include the Yegicheongyeonrok by Gwon Geun, the Yegidaemuneonrok by Seong Sam Mun and Sin Suk Ju, the Yegiryupyeon by Choi Seok Jeong, and the Yegibosu by Kim Jae Ro. These great works by Korean scholars were created based on Jin Ho’s the Yegijipseol.

한국어

본 연구는 『禮記集說』의 編纂과 刊行을 바탕으로 高麗 공양왕 3년(1391)에 慶尙道 尙州牧에서 覆刻된 高麗 版 『禮記集說』의 간행과 관련 인물 및 그 後響 등에 관하여 考察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禮記集說』은 원조의 至治 2년(1322)에 雲莊 陳澔에 의하여 49편 16권으로 저술된 『禮記』의 주석서로 天曆 원년(1328)에 建安의 鄭明德家에서 初刊된 바 있으며, 이 판본은 고려로 전래되어 공양왕 3년(1391)에 慶尙道 尙州牧에서 覆刻되었다. (2) 高麗版 『禮記集說』에 관하여는 일찍이 李崇仁과 朴翊 및 李仁榮 교수 등에 의하여 언급된 바 있으나, 朴翊의 <重刊禮記集說箋略>은 그의 후손들이 『松隱先生文集』을 편집할 때 李崇仁의 <進重刊陳澔集說禮 記箋>의 “翊言…”에서 安翊을 지칭하는 ‘翊’을 활동시기가 비슷한 그들의 선조 ‘朴翊’으로 錯入한 데에서 말미 암은 오류이다. (3) 高麗版 『禮記集說』은 安翊이 慶尙道都觀察使로 부임할 때에 金子粹(金自粹)와 閔安仁으로부터 간행 을 부탁받아 부임하자마자 尙州牧에서 木板으로 간행하도록 하여 5개월 만에 완성되었으며, 이는 鄭明德家에 서 초간된 목판본을 底本으로 하여 覆刻된 판본이다. (4) 高麗版 『禮記集說』의 간행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인물은 당시 慶尙道觀察使인 安翊과 尙州牧使인 李復 始였으며, 安翊은 간행의 전반적인 사안을 주도하고 李復始는 실제의 간행업무를 주도한 인물이다. (5) 古興藏本의 高麗版 『禮記集說』에는 ‘東湖堂藏’의 장서인이 날인되어 있어 본서가 한때 ‘東湖堂’의 소장 이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세종 8년(1426)부터 賜暇讀書制가 실시된 이래 중종연간(1506-1544)에 豆毛浦(玉 水洞) 근처의 한강 변에 설치되었다가 임진왜란으로 없어진 ‘東湖讀書堂’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6) 우리나라 학자들에 의한 『禮記』의 주석서로는 權近의 『禮記淺見錄』을 비롯하여 成三問과 申叔舟가 서로 토론하여 현토한 『禮記大文諺讀』, 崔錫鼎의 『禮記類編』, 金在魯의 『禮記補註』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陳澔의 『禮記集說』을 바탕으로 탄생된 우리나라의 위대한 저술들이다.

목차

<초록>

1. 緖言
2. 『禮記集說』의 編纂과 刊行
2.1 『禮記』의 傳來와 受容
2.2 『禮記集說』의 編纂과 版本
3. 尙州牧 刊行의 高麗版 『禮記集說』
3.1 高麗版 『禮記集說』의 刊行記錄
3.2 高麗版 『禮記集說』의 刊行人物
3.3 高麗版 『禮記集說』의 書誌的 特徵
4. 高麗版 『禮記集說』의 後響
5. 結論
<참고문헌>

저자정보

  • 朴文烈 박문렬. 淸州大學校 人文大學 文獻情報學科 敎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