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mage and text texts on students’ writing activities as a writing materia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ovided students with the same information on two different types of texts, then explained (introduced) their understanding, and compared the writing process with the resul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image text as a writing material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the entire area of writing (contents, organization, expression) than the written text. When compared by writing level, the use of image tex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ll levels and especially to lower-level students who were difficult to understand in a short time. The digital generation has a non-linear and complex thinking in comparison with previous generations, and has the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f image texts. If the current generation of children is different from the way they handle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ir understanding, expression, and thinking. For the digital generation, 'image' will be a catalyst to connect existing knowledge and inspire new inspiration.
한국어
디지털 시대에서는 소통의 매체가 기존의 문자 중심에서 이미지텍스트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텍스트의 변화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방 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세대인 초등학교 학생들 에게 쓰기자료로서 이미지 텍스트와 문자텍스트를 제공했을 때 학생들의 쓰기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에게 두 가지 다른 유형의 텍스트에 동 일한 정보를 제공한 후 이해한 내용을 설명(소개)하게 하였고 쓰기 과정과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쓰기 자료로서 이미지텍스트가 문자 텍스트에 비해 쓰기의 전 영역(내용, 조직, 표현) 모두에서 더 긍정적인 영향 을 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쓰기 수준별로 비교했을 때는 이미지 텍스트 의 사용이 상․중․하 모든 수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특 히 많은 문자로 구성된 내용을 단시간에 이해하기 어려운 하 수준의 학생 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디지털 세대는 이전 세대에 비해 비선형적, 복합적 사고를 하며 이미지텍 스트가 가진 정보 특성과 그 이해를 같이 한다. 현재 디지털 세대인 아이들 이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이 예전과 다르다면 그들이 가진 이해와 표현방식, 사고방식에 맞게 교육의 방향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디지털 세대에게 ‘이 미지’는 기존 지식과 연결하고 새로운 영감을 주는 촉매제가 될 것이다.
목차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및 논의
4.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